

비슷한 가격대의 에쎄나 레종, 팔리아먼트, 말보로, 던힐 등 인기 담배의 마진율이 9.33~9.53%인 것과 비교할 때 거의 2% 가량 낮은 수준이다. 담뱃세 인상 전 보그의 마진율은 10%였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편의점주들은 BAT코리아가 그동안 보그 담배를 3500원에 팔며 발생했던 손해를 담배 소매상들에게 전가시키려는 꼼수라며 비난하고 있다. 담배 한 갑당 붙는 세금 3318원에 소매점주 마진 250원을 합치면 BAT코리아는 그동안 보그 한 갑을 팔 때마다 68원씩 손해를 봤다.
하지만 담뱃값 인상으로 싼 값의 담배를 찾는 소비자들이 보그로 몰리며 품귀현상을 보이자 가격을 4300원으로 올리고 동시에 편의점 마진을 대폭 줄여 본사 이익을 극대화했다는 것.
관련 뉴스

편의점주 사이에서는 이같은 일방적인 마진 삭감에 대해 BAT코리아의 ‘갑질’이라는 말까지 나돈다. 한 편의점주는 “담배는 통상 편의점 매출의 30~40%를 차지할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면서 “담배 제조사가 우월한 지위를 이용해 실력행사를 해도 울며겨자먹기로 감수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편의점 업계 한 관계자는 “담배제조사의 경우 일반 식품이나 생필품 업체와 달리 판매가와 마진을 자신들이 정해서 통보하는 특수 형태”라며 “편의점 등 유통회사와 마진을 놓고 협의나 협상은 전혀 하지 않는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