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 매매가·전세가 상승세 지속···상승폭도 확대

입력 2015-02-12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국 아파트의 매매가와 전세가의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12일 한국감정원이 2월9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전 주 대비 0.11% 상승, 전세가격은 0.16% 상승을 기록했다.

매매가격은 전국 기준으로 전 주 보다 상승폭이 확대(0.10%→0.11%)됐으며 전세가격도 수도권 중심의 오름세가 이어지면서 전 주 보다 상승폭이 확대(0.15%→0.16%)됐다.

우선 매매가격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기조로 시장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은 전세가 비율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매물 부족에 따른 실수요자의 매매전환수요가 증가해 전 주 대비 상승폭이 커졌다.

수도권(0.15%)은 서울, 경기에서 전반적인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며 전 주보다 상승폭이 커졌고 지방(0.07%)은 전체적으로 전 주 상승폭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시도별로는 경기(0.17%), 제주(0.15%), 서울(0.15%), 대구(0.14%), 충북(0.13%), 충남(0.11%), 경남(0.10%), 강원(0.09%) 등의 순으로 나타나 전남(-0.11%)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상승했다.

특히 서울(0.15%)은 7주 연속 상승을 기록한 가운데 강북(0.13%)과 강남(0.16%)지역 모두 전 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규모별로는 60㎡이하(0.14%), 60㎡초과~85㎡이하(0.10%), 102㎡초과~135㎡이하(0.09%), 85㎡초과~102㎡이하(0.07%), 135㎡초과(0.05%) 순으로 나타나 모든 규모에서 일제히 올랐다.

전세가격은 임대인의 월세 선호에 따른 전세물량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봄철 이사수요와 신혼부부 수요로 인해 학군 및 교통 여건이 양호한 지역으로 이주하려는 수요가 증가되면서 전 주 보다 상승폭이 다소 확대됐다.

여기에 서울 강남권은 다음 달부터 이주가 본격화되는 재건축단지 인근지역으로 상승세가 확산되는 모습을 보였다. 3월이주 재건축단지는 개포주공2단지(1400가구), 고덕주공2단지(2600가구), 명일삼익그린1차(1560가구) 등이다.

수도권(0.24%)은 서울, 경기의 상승세가 이어지며 전 주 보다 상승폭이 확대됐으며 지방(0.07%)은 전체적으로는 전 주 상승폭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시도별로는 서울(0.25%), 경기(0.25%), 제주(0.21%), 충북(0.20%), 인천(0.14%), 대구(0.13%), 강원(0.12%), 경북(0.09%) 등은 올랐고 전남(-0.08%), 세종(-0.02%), 대전(-0.02%)은 떨어졌다.

서울(0.25%)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 확대되며 오름세 지속된 가운데 강북(0.21%)지역과 강남(0.29%)지역 모두 전 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규모별로는 135㎡초과(0.25%), 60㎡초과~85㎡이하(0.17%), 85㎡초과~102㎡이하(0.15%), 102㎡초과~135㎡이하(0.15%), 60㎡이하(0.14%) 순으로 나타나 모든 규모에서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이젠 싼 맛 말고 제맛”…K브랜드로 中독 벗어난다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뉴욕인사이트] 고용 지표에 쏠리는 눈…하반기 황소장 이어가나
  • “잠재력만 봅니다” 부실 상장·관리 여전...파두·시큐레터 투자자 ‘피눈물’ [기술특례상장 명과 암②]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서울 지하철 3호선 대치역서 배터리 화재…"현재 정상운행 중"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077,000
    • +2.76%
    • 이더리움
    • 4,825,000
    • +1.62%
    • 비트코인 캐시
    • 553,000
    • +3.27%
    • 리플
    • 669
    • +0.45%
    • 솔라나
    • 205,600
    • +4.21%
    • 에이다
    • 550
    • +2.04%
    • 이오스
    • 810
    • +1.76%
    • 트론
    • 175
    • -0.57%
    • 스텔라루멘
    • 128
    • +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100
    • +2.35%
    • 체인링크
    • 19,970
    • +4.99%
    • 샌드박스
    • 465
    • +1.0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