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입물가 하락과 국내 경기 위축으로 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물가 상승률은 3.3%에 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4배가량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물가와 지수물가간 괴리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대경제연구원이 2월24일부터 3월3일까지 전국 성인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월 기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8%였으나 체감 물가상승률은 3.3%에 달했다.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5%까지 하락해 지수와 체감물가간 차이가 상당한 것으로 해석된다. 소득별로 보면 저소득층이 느끼는 체감물가 상승률이 4.0%로 고소득층(3.1%)에 비해 다소 높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2월부터 2월까지 3개월 연속 0%대를 기록하며 디플레이션 우려까지 낳고 있지만 저물가가 정작 소비확대로 이어지지 않는 것은 소비자들이 지출을 결정할 때 통계청의 지수물가보다 스스로 느끼는 체감물가에 더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체감물가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낮추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공식지표와 체감지표의 괴리는 정부정책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민들은 살림살이가 팍팍하므로 물가가 많이 오른다고 느끼는 것”이라며 “소득은 정체돼 있는데 교육비, 주거비 등 의무지출이 늘다 보니 이런 결과를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정부가 발표한 의무지출 증가율은 마이너스(-) 1.1%로 감소했으나 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의무지출 증가율은 2.3%로 증가해 격차가 3.4%포인트를 기록했다. 특히 중산층은 다른 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의무지출에 대한 부담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이 연구위원은 “체감물가와 실제 물가의 괴리는 통화정책 운용의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 “의무 지출 부담을 줄이고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문화 여가지출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