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으로부터 금품 수수 의혹을 받는 이완구 전 국무총리가 27일 총리직에서 내려와 평국회의원으로서 국회에 복귀했다. 그러나 이 총리는 친정인 새누리당에서조차 전직 총리로서의 예우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검찰 수사에서 결백을 입증하지 못한다면 내년 총선을 앞두고 탈당 압력도 피할 수 없는 처지다.
지난 2월 이 전 총리는 2008년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현역 의원으로서는 7년 만에 총리직에 올랐다. 현역 국회의원 출신 총리로는 노무현 정부 때 이해찬, 한명숙 등 현역 국회의원 출신 총리가 2명 있었지만, 이명박 정부 때는 한 명도 없었다.
총리직에서 물러나 당으로 복귀한 의원들은 당 총재, 또는 명예총재 타이틀을 갖거나 당 상임고문으로 예우를 받았다. 이해찬, 한명숙 의원 역시 현재도 새정치민주연합에서 당 상임고문으로 위촉되는 등 당의 원로로서 극진히 예우받고 있다.
그러나 불과 70일 만에 ‘불명예 복귀’한 이 전 총리의 경우 새누리당에 이런 대접을 기대할 수도, 요구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새누리당에선 아직 이 전 총리의 예우 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언급하는 분위기는 전혀 아니나, 당 내부적으로는 이 전 총리가 당분간 정상적인 의정 활동이나 정치 행보에 나서기는 어렵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당장 본격화되는 검찰의 수사를 준비하고 의혹 해소를 위한 법적 다툼에 나서야 하는 까닭이다.
더군다나 새누리당은 당헌·당규에서 뇌물과 불법 정치자금 수수 등 부정부패 관련 당원에 대해선 기소와 동시에 당원권을 정지하도록 해, 무죄 입증에 실패할 경우 내년 4월 20대 총선 전 탈당 요구를 받을 수도 있다.
혈액암이라는 생사의 기로를 넘어 지난 2013년 4월 재보선을 통해 국회에 재입성, 지난해 5월엔 여당 원내대표에 추대되고 ‘국정 2인자’의 자리에까지 올라 정치인으로서 ‘황금기’를 누렸던 이 전 총리는 이제 당원권과 명예를 지키기 위해 의정 활동보단 법적 싸움에 ‘올인’해야 하는 신세가 됐다. 만일 검찰 수사에서 이 전 총리가 결백을 입증하는 데 성공한다면 명예 회복을 위해 내년 총선에 도전할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