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삼성서울병원 응급실 한 의료진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8일 보건의료노조는 “삼성서울병원이 메르스 확산의 발원지가 되고 있는데도 정부는 응급실 내원환자 600여명에 대해서만 추적 관리하겠다는 방침”이라며 “‘삼성눈치보기’ 의혹이 생기고 있다”고 밝혔다.
33명의 메르스 확진환자가 발생한 삼성서울병원은 35번 환자(의료진)의 의심증상이 발현되고 있었는데도 이틀이 지난 뒤에야 자가격리했다는 점, 확진환자 발생 사실이 제때 보고되지도 않았고 직원들에 대한 마스크 착용을 금지시키는 등 안전대책도 미흡했다는 주장이다.
특히 삼성서울병원에서 발생한 메르스 환자 접촉자에 대해 엄격히 통제하겠다고 보건당국이 공표한 다음날, 곧바로 통제에서는 벗어난 환자가 2명 발생한 점은 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2명 중 1명은 증상이 발견된 병원을 거치기 전 다른 병원들을 들렸으며, 다른 1명은 최초의 10대 환자라서 감염 의심자 관리에서 중요한 환자이지만 당국의 통제 밖에 있었다.
보건당국이 삼성서울병원에서의 밀접 접촉자를 대거 격리 관찰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격리 관찰자에 포함 안 된 환자들이 나타난 것.
보건의료노조는 “메르스 환자 대량발생병원들은 진료중단하거나 휴진상태인 데 비해 삼성서울병원만 유일하게 진료가 이루어지고 있다”며 “정밀한 역학조사와 함께 전면적인 통제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