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이 국회 긴급현안질의에서 “감염병 위기 단계를 격상하면 국가 이미지에 문제가 있다”고 답변해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9일 보건의료노조는 “문형표 장관의 발언은 복지부 장관으로서 차마 입에 담을 수 없는 발언이다”라며 “국민 생명보다 정부 이미지를 우선하는 복지부가 지휘하는 메르스 대응을 어느 국민이 신뢰 할 수 있겠는가”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위기대응수준을 ‘주의’단계에서 ‘경계’단계로 격상해야 한다”며 “각 행정부처를 통합적으로 지휘 통솔할 수 있도록 총리급 이상을 수장으로 하는 컨트롤 타워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메르스가 확산되면서 전국의 보건의료 현장은 한계점에 다다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부는 공중보건의료인력을 전면 투입하는 등 재난 대비 전국가적 총동원령을 발동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노조는 “지금이라도 국격과 이미지를 생각한다면 전국가적 대응으로 더 이상의 메르스 확산을 막는 근본적인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며 “국가의 이미지는 무엇보다 국가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질 때 높아지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