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협상 마감 시한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협상이 타결돼 서구권의 제재가 풀릴 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주요 6개국(P5+1,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과 독일)과 이란이 진행하고 있는 핵협상이 마감시한인 30일 이후로 교섭기한이 연장될 것이라고 2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미국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오스트리아 빈에 있는 이란 협상대표단 대변인도 “아직 해야 할 일이 많아 협상 대표들이 6월 30일 이후에도 계속 협상을 진행해 전반적인 타결을 보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이 이날 본국으로 급히 귀국했다가 30일 빈으로 복귀할 예정이다. 자리프 장관이 본국에서 누구를 만난지 밝히지는 않았지만 서구 관리들은 그가 이란 지도자들과 핵협상 운명을 결정지을 논의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자리프 외무장관은 본국에서 최근 P5+1과의 토의 내용을 설명하고 향후 협상에 어떻게 임할지 지시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가 협상 마지막 단계에 있는 지금 얼마나 협상권한을 부여받을지는 불투명하다.
양측은 유엔 감독관들이 군시설 등 이란 내 민감한 지역에 대해 어디까지 접근할 수 있는지, 제재 해제 시점을 언제로 잡아야 할지, 허용 가능한 이란 핵개발 범위 등을 놓고 이견을 해소해야 한다.
양측 모두 6월 30일 마감시한에서 며칠 더 연장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는 아니라고 강조하고 있다. 핵협상은 이미 지난해 7월과 12월 두 차례 기한이 연장됐다.
여전히 쟁점은 많이 남아있다. 특히 남아있는 쟁점이 양측 모두에 민감한 것이기 때문에 합의에 실패하면 4월 초 이뤘던 협상 잠정타결 성과도 아예 무산될 위험이 있다.
가장 큰 이슈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 대상에 군사시설이 포함될지 여부다. 이란은 주권과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군사시설을 포함시킬 수 없다고 주장하지만 P5+1은 모든 시설 사찰이 가능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제재 해제 시기와 방법을 놓고도 이견이 크다. 이란은 협상 타결과 동시에 영구적이며 전면적인 해제를 바라고 있지만 서구권은 이행 정도에 따른 점진적인 해제, 또 약속을 어길 시 제재를 복원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핵협상은 반드시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미국 법안과 10년으로 설정된 이란 핵기술 연구·개발 제한 기간도 쟁점으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