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미국에서 발생한 자동차 리콜이 작년보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올 1~7월 미국에서 3450만건의 자동차 리콜이 이뤄진 것으로 집계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리콜 집계를 시작한 1966년 이후 두 번째로 많은 규모다.
리콜이 가장 많았던 해는 작년으로 제너럴모터스(GM)가 점화장치 결함과 관련해 대량 리콜을 한 탓에 7개월 동안 4900만건을 기록했다. 작년을 제외하고 7개월 동안 가장 많은 리콜이 진행된 해는 1981년이었다. 당시 포드가 변속기 결함으로 2100만 건을 리콜한 바 있다.
올해 리콜 이유를 살펴보면 에어백 파열 우려, 해킹에 취약한 사이버 안전, 환기 시스템 화재 위험 등 다양했다.
특히 일본업체 다카타가 만든 에어백이 파열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자, 이 에어백을 장착한 10여개 업체가 1400만대를 리콜했다.
이밖에 NHTSA가 안전 문제를 제대로 발견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대두되자 자동차 업체에 대한 감시를 강화한 것도 리콜 차량 증가 요인으로 작용했다.
NHTSA는 자동차의 결함을 파악하는 데 열을 올리고 있으며 늑장 리콜에 대해서도 강하게 대처하고 있다. 지난달 피아트 크라이슬러가 리콜을 제때 통보하지 않았다는 이유 등으로 1억500만 달러(약 1226억50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