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5/08/20150810100914_691092_520_829.jpg)
중국의 하반기 경기 회복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지난 주말 발표됐던 수출입과 물가 등 하반기 첫 경제지표가 부진을 보이면서 정부가 추가 경기부양책을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고 9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중국의 세관 격인 해관총서가 전날 발표한 지난 7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8.3% 감소했다. 이는 6월의 2.8% 증가에서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같은 기간 수입은 8.1% 줄어들어 9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에 중국은 지난달 430억 달러(약 50조1680억원)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그동안 수출은 중국 경제성장의 주요 원동력이었으나 이제는 그 빛이 바래졌다. 해관총서는 성명에서 “이번 3분기에도 수출이 강한 하강 압박을 받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수입은 국제 원자재 가격의 급락과 중국 내 수요 부진 영향으로 계속해서 침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미국 달러화 기준으로 올 들어 7월까지 중국 수출은 전년보다 0.8% 감소했고 수입은 14.6%로 그 감소폭이 더욱 컸다.
류야신 중국초상증권 애널리스트는 “앞으로도 수출입이 빠르게 호전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수출은 상대적으로 미약한 해외 수요에 타격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물가도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를 키우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이날 발표한 지난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1.6%로, 전월보다 0.2%포인트 올랐다. 그러나 여전히 정부 물가 목표인 2%에 턱없이 부족한 수치다.
특히 시장의 불안을 자아내는 것은 생산자물가지수(PPI)의 하락이다. 지난달 PPI는 전년보다 5.4% 하락해 사상 최장 기간 하락세 기록을 41개월로 연장했다. 또 하락폭은 지난 2009년 10월 이후 6년 만에 최대폭이었다.
생산자물가 하락이 멈추지 않으면 설비 투자 등 기업활동이 위축되게 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7% 경제성장률 목표를 지키기 위해 경기부양 행보를 가속화하는 등 긍정적 신호가 나타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양자오 노무라홀딩스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정부는 인프라 지출을 독려하고 있다”며 “앞으로 수개월 간 정부가 더욱 선제적인 재정지출 확대 정책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호주뉴질랜드뱅킹그룹(ANZ)도 최근 보고서에서 “금융정책에 의한 경기회복 뒷받침이 필요하다”며 추가 부양책 시행을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