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테스코는 이날 특별배당 계획을 중단한다고 MBK파트너스,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AEP)-KKR 컨소시엄, 칼라일 등 인수후보들에 통보했다. 껍데기만 남긴 채 철수하려 한다는 논란을 의식한 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또 돈을 빌리면서까지 무리하게 배당을 추진할 경우 홈플러스의 경영ㆍ재무 구조는 더욱 취약해지고 홈플러스 직원들의 반발도 거세 결국 두 손을 든 것으로 분석된다.
테스코는 홈플러스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 이후 홈플러스로부터 1조3500억원을 특별배당 형태로 받을 계획이었다. 홈플러스가 은행으로부터 대출을받아 테스코에 지급하고, 오는 10~11월 매각작업이 끝나면 인수자가 이를 대신 갚는 구조였다. 대신 인수후보들은 배당액만큼 인수대금을 낮출 수 있었다.
테스코가 배당을 계획했던 이유는 매각대금을 그대로 가져가는 것보다 세금을 줄일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원화 대비 영국 파운드화 환율이 크게 변하는 점도 고려됐다는 분석이다. 일러야 10월에나 받을 수 있는 인수대금 가운데 일부를 2~3개월 먼저가져감으로써 환율변동에 대한 위험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무리하다는 분석이 빗발쳤다. 홈플러스 배당은 법률상으로는 문제가 없다. 상법 제462조에 따르면 이익배당 한도는 순자산(자산-부채)에 자본액·자본준비금·이익준비금 등을 뺀 금액인데, 2014년 기준 홈플러스의 이익잉여금(자본금을 초과한 순자산)이 1조5680억원에 이르기 때문에 1조3000억원대의 배당이 가능하다.
그러나 홈플러스는 올 2월 말 기준 보유 현금이 264억원에 불과해 1조원이 넘는 배당을 하려면 은행 등에서 돈을 빌려야 한다. 홈플러스는 이미 이익잉여금을 물류센터 건립, 신규 점포 개장 등에 대부분 투자한 상태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회사 재무구조까지 악화시키는 무리한 배당이라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차입 규모가 커지면 매각 후 구조조정이나 고용 불안 문제가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는 노조 측의 압박도 작용했다. 홈플러스 노조 측은 "임금 인상을 거부하고 있는데, 1조가 넘는 차입금 부담까지 더해지면 고용 조건은 더 나빠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감을 나타냈다.
결국 홈플러스는 거세진 비난 여론을 무마하기 위해 배당 대신 매각금액을 높이는 쪽을 선택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한국 홈플러스에서는 매각과 관련해 아는 내용이 없다”고 말했다.
테스코는 1990년대 말 국내 유통 시장에 진출한 이후 약 1조3000억원을 투자했다. 물론 투자 원금은 대부분 회수한 상태다. 홈플러스에서 지금까지 회수해간 금액은 상표사용료와 배당금 2000억원, 회사채 이자 수익 9000억원 등 1조1000억원에 이른다. 테스코 측은 9월 중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 홈플러스 매각을 연내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MBK파트너스와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KKR 컨소시엄이 7조원 이상의 가격을 제시해 경합을 벌이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