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래는 손으로만 하는 게 아니다. 덩치가 크거나 때가 많은 빨랫감은 발로 밟아야 한다. 그렇게 발로 밟다 보면 어느새 발이 희어진다. 이른바 세답족백(洗踏足白)이다. 원래 ‘상전의 빨래에 종의 발꿈치가 희어진다’는 말이라지만, 남을 위해서 한 일이 자신에게도 이롭게 됐다는 풀이가 더 좋다.
세답족백의 출전이 궁금해 여러 자료를 뒤졌으나 찾지 못했다. 인조 25년(1647년) 홍만종(洪萬宗)이 병석에서 15일 만에 완성했다는 ‘순오지(旬五誌)’에는 세답족백이 “비록 남을 위한 일이지만 일을 하다 보면 이익이 자기에게 돌아온다[事雖爲彼 利卽在己]는 뜻”이라고 돼 있다.
우암 송시열(1607~1689)이 문인 이동보(李同甫·1655~1724, 동보는 자. 본명 喜朝)에게 보낸 편지 답신에도 이 말이 나온다. 3남의 관례(冠禮)에 관한 내용이다. “이런저런 점을 유념하며 예식을 치르니 법도가 모두 연관이 있는지라 이 늙은이의 심력(心力) 목력(目力)이 다해 정신이 혼미해졌네. 하는 수 없이 제자인 치도(致道: 권상하)에게 예식을 모두 위임하니 내 벗 또한 (중략) 서로가 돕는 형국이라 세답족백(洗踏足白)의 편익이 없다고 할 수 없었지.”[且念今玆校役 甚有所關 老漢心力目力 率皆昏耗 獨委致道 吾友(중략) 仍留相助 則或不無洗踏足白之益矣]
2012년 중앙대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중국인 연구자 황소하(黃少霞)의 논문에 의하면 세답족백은 한국에서 만들어진 우리 고유의 성어다. 정말 좋은 말이다. 남을 위해 즐겁게 빨래를 해줄 수 있는 사람이 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