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규모가 클수록 국내 청년 고용서 큰 기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일자리 창출을 주도했다.
고용노동부와 대통령 직속 청년위원회는 6개월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 수 10인 이상 기업 10만 2705곳을 상대로 고용성장지수를 산출한 결과 이같이 분석됐다고 7일 밝혔다.
고용성장지수는 개별기업 간 일자리 창출 비교를 위해 만들어진 지수로, 기업의 청년(15~29세) 일자리 창출력을 확인하기 위해 청년 고용성장지수를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공공부문을 제외한 전 업종을 대상으로 2013∼2014년(1년), 2011∼2014년(3년), 2009∼2014년(5년) 등 3개 기간으로 나눠 산출됐다.
2013∼2014년 청년 고용성장지수 상위 100대 기업 중 1위는 CJ올리브네트웍스가 차지했다. 이어 콜롬보코리아, 봄바디어트랜스포테이숀코리아, 삼성코닝어드밴스드글라스, 현대오일터미널, 신세계푸드, 미르마케팅, 소프트센, 미래에셋컨설팅, 이케아코리아 등이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11∼15위는 케이엔엔라이프, 현대자동차, 아이센스, 스타벅스커피코리아, 한국체육산업개발이 각각 차지했다.
청년 고용성장지수 상위 100대 기업은 기업의 수익성이 높을수록, 시장에서 성장하고 있는 기업일수록 청년 고용 창출 기여도가 높았다. 평균 업력은 21.1년으로 비교적 길었다. 평균 매출액 증가율은 51.9%로 전체 고용증가기업 평균(16.3%)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상위 100대 기업은 전체 고용증가 기업의 0.4%에 그쳤지만 고용증가 인원의 28%를 차지해 소수의 기업이 일자리 창출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100대 기업은 규모별로 300명 미만 중소기업과 300명 이상 대기업의 비중이 각각 52%와 47%를 차지했다. 세부적으로는 10~99명 42%, 100~299명 11%, 300~999명 14%, 1000~9999명 23%, 1만명 이상 기업이 10%로 100명 미만 기업과 1000명 이상 기업에 상대적으로 다수 분포돼 있었다.
고용부 관계자는 “대기업의 기업수가 적음을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대규모 기업이 중소규모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청년 고용확대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28%, 사업시설관리·지원서비스업 28%, 도·소매업 9%, 숙박·음식점업 8% 등으로 전통산업인 제조업과 사업시설관리·지원서비스업의 고용 창출 기여도가 컸다.
2013∼2014년, 2011∼2014년, 2009∼2014년 고용이 증가한 10인 이상 기업은 각각 26.8%, 26.4%, 23.4%로 분석 기간이 짧을 수록 청년 고용증가기업의 비중이 높았다. 이는 최근으로 올수록 청년고용을 늘리는 기업이 증가했다는 얘기다.
성별로는 남성이 6만1000명(58.6%), 5만4000명(58.7%), 10만4000명(57.1%) 늘어났고, 여성은 4만3000명(41.4%), 3만8000명(41.3%), 7만8000명(42.9%)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