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12월 29일 畵龍點睛(화룡점정) 일의 마무리를 완벽하게 해냄

입력 2015-12-29 11: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공휴일궤(功虧一簣)의 반대말은 화룡점정(畵龍點睛)이다. 무슨 일을 할 때 최후의 중요한 부분을 마무리함으로써 일을 완성한다는 뜻이다. 여기에서 의미가 확대돼 어떤 일이나 작품 자체가 돋보이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도 쓰이게 됐다.

남북조시대에 양(梁) 무제(武帝)가 화공(畵工) 장승요(張僧繇)에게 금릉(金陵:南京) 안락사(安樂寺)의 단청을 그리게 했다. 장군과 태수 등을 역임한 장승요는 벼슬을 그만둔 뒤 그림만 그리고 있었다. 장승요가 붓을 들자 하늘로 솟아오르려는 용들의 모습이 선명하게 드러났다. 그런데 용에 눈이 없었다. 사람들이 이유를 묻자 장승요는 “눈을 그려 넣으면 용이 날아가 버린다”고 대답했다.

그러나 사람들은 눈을 그려 넣으라고 재촉했다. 장승요가 그 하나에 눈동자를 그려 넣자 갑자기 번개가 치고 우레가 울려 벽이 깨지면서 용 한 마리가 구름을 타고 올라갔다.[因點其一 須臾雷電破壁 一龍昇雲上天] 용이 날아간 자리는 빈 공간으로 남아 있었다. 이때부터 중요한 일의 마지막 마무리를 하는 것을 화룡점정이라고 말하게 됐다.

장승요는 동진(東晉)의 고개지(顧愷之), 송(宋)의 육탐미(陸探微)와 함께 ‘6조의 3대가’로 불리던 사람이다. 한족필기소설(漢族筆記小說) 감주집(紺珠集)에 수록된 수형기(水衡記)나 장언원(張彦遠)이 지은 회화사서(繪畵史書) ‘역대명화기’에 그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날아간 용의 숫자가 서로 다른데, 어차피 만들어낸 이야기인데 숫자가 뭐 중요할까.

남북조시대(420~589)는 중국 대륙이 남북으로 분열돼 각기 왕조가 바뀌던 시기이다. 남조(南朝)는 동진에 이어 한족(漢族)이 세운 송 제(齊) 양(梁) 진(陳)으로 갈라지고, 북조는 선비족이 세운 북위(北魏)가 동위 서위로 분열됐다가 북제 북주로 이어진 뒤 수(隋)가 천하를 통일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이베이, 3월부터 K셀러에 반품·환불비 지원 ‘리퍼제도’ 시행
  • 공차, 흑당에 대만 디저트 ‘또우화’ 퐁당…“달콤·부드러움 2배” [맛보니]
  • [유하영의 금융TMI] 가계대출 관리, 양보다 질이 중요한 이유는?
  • 대통령실·與 “탄핵 집회 尹부부 딥페이크 영상...법적대응”
  • “성찰의 시간 가졌다”...한동훈, ‘별의 순간’ 올까
  • 매력 잃어가는 ‘M7’…올해 상승률 1% 그쳐
  • '나는 솔로' 11기 영철, 특별한 인증 사진 '눈길'…"文과 무슨 사이?"
  • 떠난 하늘이와 우려의 목소리…우울증은 죄가 없다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2.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265,000
    • -0.53%
    • 이더리움
    • 4,062,000
    • +0.22%
    • 비트코인 캐시
    • 497,000
    • -1.58%
    • 리플
    • 4,120
    • -0.79%
    • 솔라나
    • 286,900
    • -2.02%
    • 에이다
    • 1,166
    • -1.35%
    • 이오스
    • 952
    • -3.35%
    • 트론
    • 367
    • +2.8%
    • 스텔라루멘
    • 520
    • -1.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000
    • +1.27%
    • 체인링크
    • 28,690
    • +0.91%
    • 샌드박스
    • 595
    • -0.8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