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 크리스퍼 확보한 툴젠, 다음 행보는..'수익모델 확립'

입력 2016-09-22 15: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식물→동물→치료제 개발로 포트폴리오 확대 추진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원천특허를 바탕으로 2~3년 내에서 식물 쪽에서 수익을 내겠습니다. 이후 4~5년내에는 동물, 그 이후에는 유전자치료제로 툴젠의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겠습니다."

김종문 툴젠 대표는 21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미래에셋대우 여의도 본사에서 열린 바이오투자포럼에서 앞으로 툴젠이 추진할 사업전략을 이 같이 소개했다.

툴젠은 전세계 생명공학계가 주목하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Cas9)'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

특히 최근 국내 특허청의 크리스퍼 원천특허 승인으로 크리스퍼 상업화를 가로막는 걸림돌이 사라지면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김 대표는 "크리스퍼 원천특허를 바탕으로 툴젠의 지적 재산권을 확대하고 신사업 발굴, 라이센스 아웃(기술 이전)을 구체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익모델 찾기를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크리스퍼 특허와 관련해서도 국내 뿐 아니라 미국, 유럽, 캐나다, 중국 등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크리스퍼는 원하는 DNA를 자르고 새로운 DNA를 삽입할 수 있는 유전자 편집기술이라는 점에서 활용처가 무궁무진한다. 툴젠은 상업화가 가장 빠른 식물부터 동물, 유전자치료제까지 단계적으로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식물 분야에서는 농우바이오와 함께 유전자교정 당근, 동아대학교와 올레인상 고함유 콩 등을 개발해 상업화할 계획이다. 이후에는 단백질 함량은 높지만 지방함량은 낮은 근육강화돼지 개발, 혈우병·사리코마리투스병 등 희귀병 유전자치료제 개발 등을 추진한다.

사리코마리투스병 치료제 개발 프로젝트는 삼성서울병원과 5년간 진행되는 정부 과제로 선정됐다. 혈우병 치료제의 경우 동물실험이 끝나는 내년 임상 1상 진입을 계획하고 있다.

김 대표는 "치료제 개발에는 10년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우선은 식물에서 수익을 낼 것"이라면서 "유전자교정 작물의 GMO 논란이 있지만 수년내 해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어 "현재 비지니스모델을 구체화하기 위한 자금이 필요해 코스닥 상장 기회도 엿보고 있다"면서 "앞으로 의미있는 투자자들과 협력해 일을 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줄줄 새는 보험료…결국 가입자 '쥐어짜기' [멍든 실손개혁下]
  • 피겨 이해인 "미성년 성추행 사실 아냐…부모님 반대로 헤어진 후 다시 만나"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14:1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051,000
    • -1.12%
    • 이더리움
    • 4,762,000
    • -0.42%
    • 비트코인 캐시
    • 530,000
    • -1.03%
    • 리플
    • 661
    • -1.2%
    • 솔라나
    • 192,300
    • -0.72%
    • 에이다
    • 536
    • -2.72%
    • 이오스
    • 804
    • -0.86%
    • 트론
    • 173
    • +0.58%
    • 스텔라루멘
    • 126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250
    • -2.12%
    • 체인링크
    • 19,400
    • -3.05%
    • 샌드박스
    • 467
    • -0.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