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시장의 밀어내기 공급이 계속되면서 향후 입주물량 폭탄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올해부터 2018년까지 3년간 입주물량이 106만 가구에 달할 전망이지만, 대외적 불확실성에 건설사들의 밀어내기 분양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27일 관련 업계와 부동산114에 따르면 2017~2018년 2년간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각각 37만3070가구, 40만635가구로 총 77만3705가구다. 이는 6월 집계 당시보다 두 해 각각 6000여 가구, 7만여 가구가 늘어난 수치다. 5개월 가까운 기간 동안 입주 가능한 아파트가 무려 7만 가구 넘게 증가했다. 2년 단기 입주물량으로 봐도 1기 신도시가 집중적으로 조성된 1994~1995년과 1997~1998년 각각 쏟아진 82만~83만 가구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분양시장에서는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2년간 전국에 84만8857가구가 공급됐다. 올해(약 49만 가구) 물량을 더하면 3년간 분양물량은 총 133만 가구에 이른다. 2004~2006년 호황기에 공급된 85만 가구보다 48만 가구나 많은 수치다. 이 같은 과잉공급은 입주물량에 고스란히 반영됐다.
입주대란이 이미 예고된 상황에서 공급이 확대되는 이유는 건설사들의 밀어내기 분양이 계속되고 있어서다. 내년 주택시장의 불확실성이 점차 커지면서 규제가 현실화되기 전 열기가 조금이나마 남아있을 때 공급하자는 움직임이 강하게 작용한 탓이다.
실제로 최근 분양시장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과 부산 등을 중심으로 열기가 달아올라 있다. 가을 이사철을 맞아 수요자들이 내집 찾기에 나선 데다, 정부가 택지지구 공급 축소 등 공급조절 방안을 언급하면서 집값 상승을 우려해 분양에 서둘러 나서려는 움직임도 지속되고 있다. 저금리 기조로 차익을 노리는 투자 수요도 여전하다.
분양업계 관계자는 “미국이 내년 금리인상을 할 경우 시차는 있지만 우리나라도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크고, 분양시장에 대한 정부의 규제가 언제 쏟아질지 알 수 없는 만큼 서둘러 사업을 진행하려는 움직임이 강하다”고 말했다.
대규모 입주물량은 집값 폭락이나 역전세난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 건설사들의 유동성 문제 역시 불가피하다.
1기 신도시 당시 전국 주택보급률이 86%에 그쳤지만, 2014년 전국 주택보급률은 118%, 수도권도 이미 108%까지 올라섰다. 소화불량으로 인해 준공후 미분양이 대거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
이 관계자는 “일부에서는 전월세난을 해소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지만 올해부터 3년간 입주물량이 이미 100만 가구를 넘어선다”며 “과거 사례에 비춰볼 때 이 같은 물량은 앞으로 정권이 2번 바뀌고도 털어내기 어려운 물량이 될 수 있어 주택시장을 심각하게 봐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