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최측근' 차은택 체포… 검찰, 5시간 밤샘조사

입력 2016-11-09 00:22 수정 2016-11-09 06: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순실(60) 씨의 측근으로, 박근혜 정부 '문화계 황태자'로 불렸던 차은택(47) 씨가 중국에서 귀국해 검찰 조사를 받았다. 고영태(40) 씨와 함께 최 씨를 도와 재단 운영에 깊숙히 개입했던 차 씨의 신병이 확보되면서 수사에 적지 않은 진전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이날 중국 칭다오 발 항공편으로 귀국한 차 씨를 10시 10분께 인천공항에서 체포해 서울중앙지검으로 이송했다. 차 씨는 11시 19분께 서울 서초동 검찰청사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는 최 씨나 우병우(49) 전 청와대 민정수석과의 관계를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지 않고 "검찰 조사에 성실히 임하겠다", "죄송하다"는 말만 반복했다. '어떤 점이 죄송하다는 것이냐'는 질문에도 같은 답변만 되풀이했다. 검찰은 차 씨의 동의를 받고 변호인 입회 하에 5시간여에 걸쳐 조사한 뒤 서울구치소로 보냈다.

검찰은 전날 차 씨가 실소유한 업체 중 하나인 '플레이그라운드커뮤니케이션즈' 대표 김홍탁(45) 씨를 불러 조사했다. 이 업체는 지난 5월 박근혜 대통령이 아프리카 순방 시 사물놀이 등 행사 사업을 맡았다. 차 씨가 대표로 있는 아프리카픽쳐스의 경우 현대자동차그룹과 KT 등 대기업 광고를 맡아 제작했다. 이와 관련해서는 현대차 부사장 박모(59) 씨가 검찰 조사를 받았다.

검찰은 같은날 차 씨의 인맥으로 분류되는 송성각(55) 전 콘텐츠진흥원장을 체포했다. 송 씨의 경우 차 씨의 사람들과 함께 포스코 계열 광고업체 '포레카'를 인수하기로 한 C사 지분을 강탈하려고 한 혐의를 받고 있다.

차 씨는 최 씨의 측근이라는 점을 활용해 자신의 인맥을 정부 문화정책 분야 고위직에 심어놓고 각종 이권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차 씨는 2014년 8월 대통령 직속 문화융성위원회 민간위원을 거쳐 지난해 4월에는 창조경제추진단장 겸 문화창조융합본부장을 지냈다. 이후 차 씨의 대학원 은사인 김종덕(59) 교수는 문화체육부 장관에, 외삼촌인 김상률(56) 교수는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에 발탁됐다. 또 다른 대학원 은사 김형수(57) 교수는 미르재단 초대 이사장을 지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856,000
    • +1.11%
    • 이더리움
    • 4,763,000
    • -0.21%
    • 비트코인 캐시
    • 541,000
    • -1.19%
    • 리플
    • 668
    • +0%
    • 솔라나
    • 199,100
    • +0.1%
    • 에이다
    • 546
    • -1.27%
    • 이오스
    • 804
    • -4.06%
    • 트론
    • 178
    • +2.3%
    • 스텔라루멘
    • 128
    • -1.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950
    • -1.27%
    • 체인링크
    • 19,240
    • -2.98%
    • 샌드박스
    • 461
    • -4.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