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미국은 이미 인터넷의 우위성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전면에 내세우고 첨단제조업파트너십(AMP)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독일은 스마트공장, 일본은 로봇혁명 신전략, 중국은 ‘중국제조 2025’를 발표하고 4차 산업혁명을 추진 중이다. 우리나라도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제조업 혁신 3.0 전략실행 대책’을, 미래창조과학부가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시범사업 실시 및 중장기 계획’을 수립해 주도권 잡기 경쟁에 가세했다.
4차 산업혁명은 우리 농업에도 큰 변화를 일으킬 것이라 예상돼 발 빠른 대비가 필요하다. 이미 농업 생산과 가공·유통 등 곳곳에 로봇,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이 접목돼 유용하게 활용되며 4차 산업혁명의 바람이 불고 있다.
농업 생산부문에서는 첨단 융합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팜을 운영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게 양질의 농산물 생산이 이뤄지고 있다. 앞으로 기존의 스마트팜에 농업용 로봇, 빅데이터, 인공지능, 정보관리를 융복합해 한 단계 발전된 생산시스템을 갖추게 되면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더욱 품질 좋은 농산물을 많이 수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후변화에 대응한 적응과 온실가스 감축 및 생산성 향상 등 일거삼득의 기후스마트농업 실현도 가능하다.
농산물의 유통과 소비에도 4차 산업혁명이 접목돼 일부에서 이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일례로 빅데이터를 활용한 출하량 조절 및 소비자 식생활 스타일을 고려한 개인 맞춤형 농산물 주문 시스템 도입이 현실화하고 있다. 또 스마트 산지유통센터를 통한 농산물 전자거래, 이력 추적 및 위해요소 관리 등 기존 유통시스템의 스마트화가 가속화하고, 온라인과 모바일을 통해 중간유통 단계 없이 생산자에서 음식점이나 소비자로의 공급이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3D프린터를 활용한 식품 및 농자재·농기계 부품·도구의 자체 제작이 이뤄짐으로써, 개인의 창의성과 아이디어를 반영한 소비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에서도 소셜네트워크(Social Network)를 기반으로 특화된 정보를 모아 놓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농촌민박, 체험관광, 축제 등의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하고, 이를 소득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농지, 주택 등 농촌자원공유시스템 구축을 통해 새로운 농촌소득 모델이 확산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이탈리아를 방문해 만난 농업인이 이런 말을 했다. “우리나라는 선진국이라고는 하지만 인터넷 속도가 매우 느린데, 한국은 기가 속도이니 ICT를 활용한 스마트팜을 운영하기 좋은 나라다.” 우리나라 농업의 현주소를 떠올리니 귓전을 맴돈다. 경지면적은 좁고 농가 인구도 감소화·고령화되는 우리나라 농업에 하루빨리 4차 산업혁명 바람이 강하게 불어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탈바꿈되기를 기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