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장가에도 격이 있다. 취미로 서화, 골동을 모으는 사람이 있고, 돈이 된다고 모으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큰 뜻을 품고 체계적으로 수집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소장품 1만여 점을 헤아리는 간송미술관의 설립자 전형필(1906.7.29~1962.1.26)은 우리나라 최고의 부잣집에서 태어났지만 호의호식하지 않고 일제강점기 때 ‘문화 독립운동’ 의지로 문화유산 지킴이로 나선 수장가다.
휘문고보와 일본 와세다대를 졸업한 그는 한남서림을 인수하며 문화재 수집 보호에 심혈을 기울였다. 문화재에 관심을 갖게 된 데는 휘문고보 때의 스승 고희동(1886.3.11~1965.10.22)과 33인 중 한 분인 독립운동가 오세창(1864.8.6~1953.4.16)의 영향이 컸다.
거금 1만 원을 주고 구입한 ‘훈민정음 해례본(국보 제70호)’은 그가 가장 아끼던 수집품이다.
6·25전쟁 중에도 품 안에 넣고 지냈으며 한글 연구를 위한 영인본 제작을 위해 손수 한 장 한 장 해체해 사진을 찍게 했다.
성북동에 터를 잡은 간송의 고택 북단장(北壇莊)은 누에 농사의 풍년을 빌던 선잠단(先蠶壇)의 북쪽에 있는 집이라는 뜻으로 오세창이 지어준 이름이다. 그 터에 한국 최초의 사립 미술박물관인 보화각(葆華閣·빛나는 보물을 모아둔 집)을 세웠으며 보성고보를 인수하기도 했다. 보화각은 후에 한국민족미술연구소와 간송미술관으로 개편됐다.
삼국시대 불상인 계미명 삼존불(국보 제72호)을 손에 넣은 인연으로 또 다른 선연을 쌓기도 했다. “귀한 부처님이 덕을 쌓으라는 가르침을 주기 위해 우리 집에 오신 것 같구나.” 어머니의 간곡한 당부를 받은 간송은 양로원인 인보관에 매년 기와집 한 채 값인 1000원씩 지원하는 등 빈민 구제에도 힘썼다. 평전 ‘간송 전형필’(이충렬 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