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흥미로운 보고서를 공개했다. 중국이 애플의 파트너로서 ‘아이폰 시티’를 만들기 위해 얼마 만큼의 거액을 들였는가(How China Built ‘iPhoneCity’ With Billions in Perks for Apple’s Partner)라는 내용이다.
아이폰 시티는 아이폰 조립공장이 들어선 중국 허난성 중부 도시 정저우를 일컫는다. 애플 아이폰은 디자인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조립은 중국에서 각각 이뤄진다. 아이폰 조립업체는 대만 혼하이정밀공업 산하 폭스콘이다. NYT에 따르면 폭스콘 공장에서는 하루 50만 대의 아이폰이 생산된다. 이같은 결실은 하루 아침에 맺게 된 것이 아니다. 관공서와의 연계와 세제, 보조금 등 중국 측이 아이폰 공장을 유치하고자 다각적으로 공을 들인 결과였다. 중국 정부는 폭스콘이 정저우에 공장을 짓고 근로자용 주택 정비를 하는데에 최소한 15억 달러를 지원했다. 최소한이라고 표현한 이유는 중국 정부와 폭스콘이 정확한 금액을 밝히지 않은 까닭이다. 더불어 중국 정부는 도로, 수출 인프라 등도 정비해줬다. 또한 정부는 전력비용을 5% 할인해주고, 공장 건설 시에도 정저우 시 재정에서 대출을 해줬다. 이외에 5년간 법인세를 면제해줬고, 그 다음 5년부터는 법인세율을 깎아줬다. 뿐만 아니라 근로자들에 대한 훈련비를 보조해주고 채용 모집 시 보조금을 지급, 사회보장 비용도 낮춰줬다. 여기에 최종 제품에 대해서도 일정 규모 이상의 수출을 하면 보너스를 주고 있으며, 운송 비용에도 보조금을 주고 있다.
원래 애플은 중국 생산에 적극적이지 않았다. 그러다가 방침을 바꾼 건 궈타이밍 혼하이정밀공업 회장과 중국 정부의 영향이 컸다. 궈 회장이 직접 영업을 한데다 중국 정부가 아이폰 공장 건립을 이례적으로 빨리 승인, 그에 감동해 폭스콘에 아이폰 조립을 몰아주게 되면서 현재의 아이폰 시티도 탄생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중국으로 생산이 이동할 때 저렴한 인건비 때문일 것으로 짐작하지만, 사실 기업들은 싼 인건비 만을 이유로 생산을 완전히 옮기진 않는다. 애플 아이폰의 예를 보면 특정 지역이 생산 거점이 될 때, 거기에는 충분한 시간과 노력이 있었던 것이다.
이는 기업들의 해외 생산기지를 미국으로 다시 불러들이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경종을 울리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기간 애플에 강한 압력을 넣었다. 당시 그는 “나는 일자리를 미국으로 되돌릴 것”이라며 애플을 콕 찝어 “그들의 컴퓨터와 아이폰을 중국이 아닌, 미국에서 생산하게 할 것이다”라고 공언했다.
알고 보면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도 비슷한 말을 했었다. 2011년 오바마 대통령은 당시 스티브 잡스 최고경영자(CEO)에게 아이폰의 미국 생산 회귀를 부탁했다. 이에 잡스 CEO는 “단순히 노동 비용 우위 때문이 아니라 유연성과 효율성을 생각하면 미국으로 되돌리지 못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업들은 정부로부터 생산 회귀에 대한 압박을 받고 있지만 사실은 주주들로부터 더 강한 이익 창출 압박을 받고 있다. 주주를 우선으로 하는 기업으로서는 미국 회귀가 답은 아니라는 것이다.
또 한 가지 주목할 건 중국 생산은 서구시장에선 받을 수 없는 독특한 혜택이 있다는 점이다. 2011년 아이폰에서 결함이 발견됐을 때 애플은 서구기업에서는 있을 수 없는 대응을 보였다. 8000명의 직원이 동시에 작업에 임해 96시간 만에 1만 대가 넘는 아이폰을 완성했다. 싼 인건비는 물론 긴급성과 근면성을 갖춘 근로자들이 애플을 감동시켰음에 틀림없다. 조립 공정이 미국으로 완전 이관된들 이 만큼의 혜택을 애플에 안겨줄 수 있을까.
트럼프 대통령은 기업들에 법인세 인하를 당근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 경제 주간지 닛케이비즈니스는 기업들에게는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기 위해 단순히 뒤쳐진 분야에서 다시 우위에 서려는 것보다 다른 투쟁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