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전기차 등 에너지신산업이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솔루션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 전력 수요 증가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4차 산업혁명은 전력소비량의 증가요인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감소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전력소비량의 감소 요인으로 전력공급자와 소비자가 실시간으로 전기사용 관련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는 지능형전력망(스마트그리드)과 스마트공장, 에너지고효율제품,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꼽았다.
반면, 전력소비량 증가 요인으로는 전기자동차,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센터(IDC), 인덕션 확산 등을 제시했다.
4차 산업혁명은 친환경ㆍ분산형 에너지원의 확산과 에너지와 ICT 기술의 융합 등으로 에너지 분야의 획기적인 구조 변화를 촉진한다.
이에 앞서 지난 15일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요계획실무소위원회는 8차 수급계획에 담길 전력수요 전망이 2030년 기준 100.5GW(기가와트)라고 밝혔다. 기준수요 113.4GW에서 수요관리(DR)량 13.2GW를 뺀 후 전기차 확산으로 인한 수요 증가 효과 약 0.3GW를 추가한 값이다.
이러한 전망치는 2015년 수립한 7차 수급계획(113.2GW)보다 12.7GW 줄어든 수치다. 지난 7월 13일 발표했던 초안보다도 1.4GW 감소했다.
아직 4차 산업혁명이 태동기로 충분히 진전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체 효과를 수치로 산정하는 것은 불확실성이 많아 8차 수급계획에 반영하는 것은 다소 무리라는 것이 수요소위와 전문 용역기관의 결론이다. 다만, 전기차와 같이 수요증가가 확실한 요인에 대해서는 전력수요에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4차 산업혁명이 진전되지만 최대 전력수요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4차 산업혁명의 생태계를 통해 전체 에너지 사용은 효율화(감소) 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전력 수요 증가 요인인 전기차, 인덕션 등은 전력소비량이 많은 시간대에 사용량이 적기 때문에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전기차로 인해 최대 전력수요가 증가하지만, 야간충전이 보편화되면서 전력피크시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전문가 논의 결과를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전력수요 증가 요인와 스마트공장, 지능형전력망 등 감소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9월까지 전력수요 증가ㆍ감소 요인, 요인별 증감 효과 등에 대한 전문가 설문을 진행해 8처 수급계획 반영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는 2030년까지 약 300MW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전망됐다. 제주도와 미국 캘리포니아 등 전기차 보급이 활발한 지역의 충전 패턴을 시나리오화해 검토했으며, 국내 전기차 보급 목표인 2030년까지 100만 대도 감안한 수치다.
8차 수급계획의 전력 수요 전망치가 지난 7월 발표된 전력 수요 초안보다 수치가 더 낮아지자 새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한 근거를 만들려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산업부는 “7차 수급계획과 동일한 수요예측 모형을 활용했다”면서 “탈원전 정책에 보조를 맞추기 위해 전력수요 전망에 대한 내용과 절차를 의도적으로 바꾼 바 없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