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 서울 종로에서 지청천(池靑天)과 윤용자 사이에서 출생한 지복영(池復榮)은 2남 2녀 중 둘째였다. 어머니는 중국에서 항일투쟁 중인 아버지를 만나게 하고 싶은 마음에서 복영이라고 이름 지었다고 한다. 아버지 지 장군은 1919년 3·1만세 시위 이후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 산하 서로군정서 및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사령관으로 항일투쟁에 앞장선 분이다.
일제의 계속된 감시를 피해 가족도 1924년 만주로 망명하였다. 삯바느질로 생계를 이어가던 어머니는 이제 낯선 땅 중국에서 힘든 농사로 자녀를 돌보는 등 생활을 꾸려가야 했다. 여섯 살에 지린(吉林)성의 검성중학 부속 소학교에 다니며 공부를 좋아하였으나, 거의 해마다 거주지를 옮겨야 했고, 한얼소학교에서 배움을 얻었다고 한다.
14세 되던 1933년, 아버지가 가족들을 뤄양(洛陽)군관학교 입학생들과 함께 중국 관내로 이주시켰다. 당시 그는 중국어를 잘하여 중국인 행세를 하며 살기도 하였다. 중국인 친구에게서 귀화 권유도 받았으나, “내 나라가 주권이 없어 지금 중국에서 유랑생활을 하지만 조선은 반드시 독립된다고 믿는다. 그러면 내가 떳떳이 한국 사람으로 살 수 있는데 무엇이 답답해서 중국인으로 살겠느냐”며 거부하였다. 1937년 난징(南京) 함락 후 임시정부의 피란길에 동행하고, 이후 항일투쟁에 앞장섰다.
1939년 한국광복군 진선청년공작대에서 항일선전 연극, 전단 제작, 벽보 부착 등에 동참하였다. 1940년 9월 광복군이 창설되자 오광심, 김정숙, 조순옥 등과 함께 입대하여, 김학규 장군이 이끄는 징모(徵募)6분처 초모(招募)위원회에서 활동하다, 충칭(重慶)에서 시안(西安)시로 이동하였다. 1942년에는 제3지대에 배속되어 초모위원 겸 비서로 활약하였으나, 결핵으로 후방에 배치되었다. 1944년 임시정부 선전부에서 일하면서 대적방송 담당 요원으로 선전방송, 원고 작성 등에 주력하며 소령으로 진급하였다. 1945년 4월 임정 회계검사원 및 조리원(助理員)으로 광복을 맞이하였다.
해방 후 1946년 서울대 도서관 사서로 취직, 교육사업에 대한 꿈을 키웠다. 1950년 한국전쟁 중에 결혼하여 첫 딸을 출산하고, 부산 화교학교 교사로 정착하였다.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이 수여되었다. 1995년에 ‘역사의 수레를 끌고 밀며-항일독립운동과 백산 지청천 장군’을 저술·발간하였으며, 2007년 운명하였다. 2015년 아들 이준식이 정리한 ‘민들레의 비상’으로 우리에게 다시 그의 빛을 주게 되었다.
공동기획: 이투데이, (사)역사 여성 미래, 여성사박물관건립추진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