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진이 삼성서울병원의 A셀 특혜를 받았다는 추가 폭로가 이어져 논란이 일고 있다.
30일 온라인에는 "박수진의 아기가 입원 내내 제1중환자실(A~C셀)에 있었다"며 박수진 A셀 특혜를 지적하는 글들이 다수 올라왔다.
증언에 따르면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중환자실(니큐·NICU)은 A~F셀로 이뤄져 있다. 가장 작고 위중한 아기들, 이제 막 태어난 미숙아들이 A셀에 들어오며 아이가 커가고 상태가 호전될수록 F셀로 자리를 옮기는 방식이다.
한 네티즌은 박수진과 같은 니큐에 다녔다고 주장하면서 당시 상황을 전했다. 이 네티즌은 "저희 아기가 입원하고 3주 뒤에 박수진 아기가 입원했다. 당시 B셀로 들어왔다고 들어서 걱정했다"며 "저희 아기가 C셀에서 F셀로 옮겨 다닐 때 박수진 씨 아기는 안 보였다. 아기 상태가 좋은데도 계속 1치료실에 있었다고 들었다. 삼성 니큐에서 1치료실에서 바로 퇴원한 아기는 박수진 아기 밖에 없을 것"이라고 폭로했다.
관련 뉴스
그는 "같은 이른둥이 엄마 입장에서 제일 화가 나는 부분이다. 상태에 따라 자리를 몇 번이나 옮겼고, 더 위독한 아기를 위해 자리를 비워주는 방식인데 아기 상태와 상관없이 위독한 아기들 틈에 자리를 지키고 있다가 간 건 혜택 아니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또 다른 네티즌은 "사망했던 아기 바로 옆 인큐에 있던 아기 엄마다. 박수진 특혜 맞긴 맞다"며 "박수진 아기는 퇴원 때까지 A셀 구석에 있었다. 다른 자리로 옮기면 또 다른 엄마들이랑 마주쳐야 하는데 그게 곤란해서라고 들었다. 아기가 크면서 울음소리도 커지는데 울음소리조차 못내는 아기들이 있는 A셀에서 혼자 우렁차게 울고, 다른 아기에게 피해가 가긴 했다"고 동조했다.
삼성병원을 이용했다는 한 산모 또한 "니큐는 퇴원이 임박 했더라도 절대 아기 입원 기간 동안 직접 엄마가 직수로 수유하지 못한다"며 "미숙아는 젖 빠는 힘이 약해 모유 수유가 불가능하고, 한 달 동안 우리 아이도 삼성병원 제 1, 제2 중환자실을 거쳐 A~F 셀까지 옮겨 다녔지만, 단 한 건도 직접 엄마가 아기 젖 물리는 것을 보지 못했다. 만약 진짜 직수했다면, 이 또한 큰 특혜"라고 주장했다.
박수진의 매니저와 조부모 면회 논란에 관해서도 추가적인 증언이 잇따랐다.
지난 27일 박수진은 병원 측의 '연예인 특혜' 논란이 일자 손편지를 통해 "매니저의 동행 및 음식물 반입에 관한 문제와 관련해, 반입이 가능한 구역까지만 했고 중환자 신생아실 내부로 매니저가 동행하거나 음식물을 반입한 사실이 없다"라며 해명하면서 "중환자실 면회에 제 부모님이 함께 동행한 것은 사실이다. 첫 출산이었고 세상에 조금 일찍 아이가 나오게 되다 보니 판단력이 흐려졌다. 정말 죄송하다"고 잘못을 일부 시인한 바 있다.
한 네티즌은 "니큐는 4층에서 산부인과와 이어져 있어서 중환자실 출입문에서 간호사가 '누구 보호자냐'고 묻는다. 그 후 도어가 열리면 아기 부모만 출입 가능한 보안 구역이다. 그 안에 손 씻는 개수대가 있고 외부인은 절대 들어갈 수 없다. 매니저가 들어갔다면 문제"라고 강조했다.
다른 네티즌 역시 "저희 아기도 작년 삼성 니큐에 있어서 잘 안다. 삼성병원 니큐는 직수를 못 한다. 니큐1, 니큐2 두 군데 다 구조를 알고 있다. 도넛 반입이 가능한 곳이었다는 손 씻는 곳도 외부인 금지구역이다. 니큐 문 안쪽이다. 삼성병원은 면회도 1인만 가능해서 보안요원이 두 명 올라갈 경우 막는다. 니큐 있는 층은 2명이 올라갈 수 있지만 니큐 안쪽은 부모만 가능하다"고 폭로했다.
앞서 삼성서울병원 측은 "의료진 판단에 따라 조부모 면회도 가능하다. 사망한 아기 측도 조부모가 면회 온 사실이 확인됐다"고 입장을 밝혔다.
그러자 특혜 논란의 발단이 된 원글 게시자인 A씨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그건 면회가 아니었다. 사망 선고 하려고 불러놓고 너무하는 것 아니냐"며 반박한 바 있다.
한편 특혜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박수진과 해당 병원 측은 추가 입장을 밝히지 않아, 향후 대처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