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록의 이슈노트] 밖에서 싸우는 기업, ‘가화만사성’이 필요하다

입력 2018-08-08 10: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산업1부 차장

삼성전자가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하반기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노트9’을 공개한다. 어느 제품이 중요하지 않겠느냐만 이번 제품은 특히 중요하다.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이 최근 출하량 감소와 중국 업체의 추격에 고전하고 있는 탓이다. 시장조사 전문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올 2분기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출하량은 7080만 대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해 10.8% 감소한 수치다. 반면 중국 화웨이는 작년 2분기 대비 41% 상승한 5420만 대의 스마트폰을 출하했다. 이 같은 호실적 덕분에 화웨이는 애플을 제치고 출하량 2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또 삼성전자는 인도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2분기 중국 윈플러스에 밀려 2위로 내려앉았다. 지난 1분기 1위를 차지한 삼성의 점유율은 34.4%로, 작년 54.3%보다 20%포인트가량 감소했다.

중국 화웨이의 스마트폰 사업 담당 사장은 “내년 4분기에 삼성전자를 잡고 스마트폰 1등이 되겠다”고 했다. 터무니없는 얘기도 아니다. 몇 년 전만 해도 짝퉁 이미지였던 중국 업체들은 중국 정부의 산업 지원 정책에 힘입어 ‘스마트폰 굴기’를 이뤄냈다. 2011년 이후 8년째 지켜온 삼성전자의 1등 자리가 위태롭다. 한국이 수년째 1위를 지켰던 LCD 디스플레이도 중국에 이미 역전당했다. 삼성전자 영업이익의 80%에 달하는 반도체 사업 역시 마찬가지다. 언제 슈퍼 호황이 끝날지 모른다. 중국의 반도체 굴기도 코앞에 와 있다.

신성장 동력이 절실하다. 삼성전자가 6일 김동연 경제부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바이오산업을 비롯한 각종 신사업 분야에서 규제 완화를 요청한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기업은 끊임없이 혁신 노력을 한다. 삼성전자는 하루가 멀다 하고 반도체 부문에서 세계 최초 제품을 양산하고 있다. 스마트폰 역시 기존 제품의 한계를 넘어선 폴더블폰 개발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이처럼 대기업들은 밖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지만, 정작 국내에선 푸대접이다. 거미줄 규제가 신사업을 막고 있고, 대기업 오너들은 적폐로 간주된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을 방문하는 것을 놓고 논란이 된 것도 이해하기 힘들다. 청와대가 김 부총리의 삼성 방문과 관련해 재벌에 투자와 고용을 구걸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뜻을 전달했다는 언론 보도가 논란을 촉발했다. 김 부총리는 즉각 본인 명의의 입장문을 통해 “정부는 과거와 같은 방식으로 대기업에 의지해 투자나 고용을 늘리려는 의도도, 계획도 없으며 (구걸이라는) 일부 표현은 적절치 않고 국민이 바라는 혁신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발끈했다.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고, 삼성만 난처한 처지가 됐다. 정부가 기업을 적대시하고, 기업이 정부의 눈치를 보는 분위기라면 우리나라 경제는 뒷걸음질 칠 수밖에 없다.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이라고 했다. 집안이 화목해야 모든 일이 잘 이뤄진다. 밖은 전쟁터다. 기업들은 신시장을 만들고, 이익을 내기 위해 치열하게 싸운다. 너도나도 1등을 잡아먹겠다고 한다. 안에서라도 기업을 격려해 주는 게 필요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롯데리아 안산상록수점'이 비상계엄 작전장소?
  • 나인우 군 면제…'4급 보충역 판정'은 왜?
  • 미국 군 당국 ‘보안규정 위반’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 조사 중
  • '대장' 비트코인 상승에 이더리움도 꿈틀…부활 날갯짓 필까 [Bit코인]
  • 혼다·닛산, 합병 협상 개시…세계 3위 자동차 메이커 탄생 초읽기
  • 방배동 ‘로또 청약’ 당첨 가점 보니… “4인 가족 만점도 턱걸이”
  • 한파 닥친 IPO 시장…‘계엄 후폭풍’에 상장 연기까지[탄핵열차와 자금시장]③
  • '최강야구' 신재영 결혼식 현장…"째강째강" 외친 새신랑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2,429,000
    • -1.52%
    • 이더리움
    • 5,615,000
    • -3.67%
    • 비트코인 캐시
    • 763,500
    • -1.61%
    • 리플
    • 3,700
    • +1.84%
    • 솔라나
    • 316,100
    • +0.93%
    • 에이다
    • 1,500
    • -2.79%
    • 이오스
    • 1,446
    • -3.15%
    • 트론
    • 399
    • -5.9%
    • 스텔라루멘
    • 622
    • +2.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9,750
    • -4.52%
    • 체인링크
    • 40,100
    • -2.69%
    • 샌드박스
    • 971
    • -3.9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