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증권사 바이오 섹터 연구원에게 최근 바이오 업종과 종목에 대한 전망을 요청했다가 받은 답변이다. 시장 분위기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분석이나 전망에 대해 언급하기가 곤란하다며 ‘정중하게’ 답변을 거부했다. 또 다른 증권사 연구원도 비슷한 이유로 코멘트하는 것을 거절했다. 두 사람 모두 바이오 섹터에서 이름을 날리는 연구원이다.
이들의 말처럼 최근 바이오는 활기를 잃어버렸다. 5월 불거진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혐의 논란을 시작으로 크고 작은 악재가 누적되면서 투자자들의 피로감을 키웠다. 여기에 지나치게 고평가됐다는 버블 우려도 발목을 잡았다.
바이오 업종에 대한 고평가 우려는 늘 있었다. 실제로 20일 기준 코스피 의약품지수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61.43배를 기록했다. MSCI유럽 제약바이오·생명공학지수의 선행 PER(15.47배), MSCI일본 헬스케어지수(25.13배·7월 31일 기준)와 비교해 월등히 높다. PER가 높을수록 실적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됐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바이오 섹터의 버블을 증권가가 키운다는 지적도 심심치 않게 나왔다. 그도 그럴 것이 국내 증권사 보고서는 중립이나 매수가 대다수다. 사실상 매도를 제시한 보고서는 없다. 시장이 호황일 때만 바이오의 성장 가능성을 언급하던 국내 증권가가 침묵하는 사이 외국계 증권사의 매도 보고서에 해당 기업은 물론 바이오 종목들이 하락세를 면치 못하는 일이 비일비재한 이유도 비슷한 맥락이다.
시장의 변동성이 클수록 투자자들은 정확한 판단을 위한 길잡이를 원한다. 증권가 연구원이 시장이 좋을 때 전망이 밝다는 보고서만 쓸 수 없는 이유다.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고평가 우려를 딛고 제대로 평가받기 위해서는 증권가도 그만큼의 역할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