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율주행차 '제로셔틀'이 일반도로를 주행하고 있다.(뉴시스)](https://img.etoday.co.kr/pto_db/2018/11/20181108100438_1268557_1200_760.jpg)
정부가 8일 내놓은 '자율주행차 규제 혁파 로드맵'은 운전 주체가 사람에서 시스템으로 변하는 만큼 사고 발생 시 책임소재를 명확하게 구분하려는 점이 배경 중 하나로 깔려있다. 현행 법체계에서는 자율주행차 특성상 직접 운전을 하지 않았는데도 손해배상이나 형사 처벌 등이 뒤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로드맵에 맞춰 자동차 사고 발생 시 운전자의 책임소재를 재정립하도록 2020년까지 법령, 규정 등 개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에 따르면 자동차를 운행하다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하면 손해를 배상할 책임을 져야 한다. 손해배상 책임은 운행자에게 귀속된다. 또 교통사고처리특례법, 특정범죄가중처벌법 등에 따르면 교통사고로 인해 인명 사상, 재물 손괴 등이 발생하면 운전자에게 형사 책임이 부과된다.
그러나 정부는 자율주행 중 사고가 나면 책임이 경감되거나 조정되도록 사회적 합의를 형성할 예정이다. 2020년까지 자율주행차 사고가 발생하면 책임 주체 등 손해배상 체계를 명확하게 구축하고 운전자의 형사책임을 재정립할 방침이다. 필요할 경우 자동차손배법, 제조물책임법, 교통사고처리특례법, 특정범죄가중처벌법 등을 개정할 계획이다.
관련 뉴스
더불어 자율주행사고에 대한 책임소재 재정립과 함께 자동차보험 제도 역시 개편할 예정이다. 현재 교통사고 시 손해배상책임을 대비한 자동차 보유자의 보험가입 의무, 자율주행 중 사고 보험제도는 불분명한 상태다.
정부는 신속한 피해자 구제, 해외 선진사례 등을 고려해 필요할 경우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등을 개정하는 등 보험제도를 개선할 방침이다. 사고 보장성을 높이기 위한 자율주행에 적합한 자동차 보험제도 개편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책임 소재를 가리는 방안 마련은 중기과제로 선정됐다. 정부는 자율주행 사고 시 운전자와 시스템간 사고 책임을 분석하기 위해 자율주행 사고기록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지금은 자율주행차 사고가 발생해도 사고기록장치 장착 및 분석 등 사고기록 시스템 구축이 되어있지 않은 상황이다. 정부는 이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도록 자동차관리법령 등을 개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