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현지시간) BBC에 따르면 영국 내 약 40%의 고용주들이 지난 12개월간 인력 고용이 더 어려워졌다고 답했다. 영국 연구기관 CIPD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영국에서 EU 출신 근로자는 7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16~2017년 14만8000여 명 증가한 것에 비하면 95%나 하락한 것이다.
특히 비 영국 출신 노동자 비중이 높은 IT, 운송, 건설 분야가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해 4월~6월과 올해 같은 기간을 비교했을 때, 비 영국 출신 노동자 수는 4만 명이나 줄었다.
2016년과 2017년 같은 기간을 비교했을 때, 오히려 26만 명이 늘어났던 것과는 완전히 상반된 수치다. CIPD가 2000명의 고용주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여름 이후 기술 숙련도에 상관없이 모든 직군에서 지원자 수가 줄었다.
CIPD의 거윈 데이비스는 “이 같은 수치는 비 영국, 또 비 EU 출신 노동자들이 더 살기 좋은 곳으로 이동하기 위해 영국을 떠났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더 많은 지원이 따르지 않거나 공정하지 않고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비 영국 출신 시민들과 고용주들이 브렉시트 이후 시스템에서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면서 “특히 저숙련 노동자들의 역할이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CIPD는 EU 시민의 영국 이주 취업이 제한되는 2021년부터 저숙련 노동력 공급이 더욱 제한될 것으로 내다봤다.
영국 정부 이주자문위원회는 최근 고용주들에게 저숙련 직무 고용 안을 마련해 제안했다. 그러나 고용주들은 이 안이 EU 시민들을 통해 인력 수요를 맞추고자 하는 자신들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비 EU 출신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는 고용주 3명 중 1명은 2021년 채택될 ‘비 EU 시민에 대한 시스템’은 재정적인 부담을 가중할 것이라며 우려하고 있다.
브렉시트로 이후 EU 출신 노동자 감소로 영국 내 일자리가 증가할 수는 있다. 그러나 위의 조사처럼 일자리 증가와 임금인상은 결국 생산비용 증가로 물가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생산 비용 상승은 가격 경쟁력 약화를 불러 수출이 감소하고 이는 영국 경제를 침체시킬 가능성이 크다. 더군다나 현재 영국 외 EU 지역에서 근무하는 고급 인력들이 브렉시트 이후 영국으로 돌아올 거란 보장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