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ㆍ협업 사업 경영 도움 여부(자료제공=중기중앙회)](https://img.etoday.co.kr/pto_db/2018/11/20181122091813_1273583_832_351.jpg)
중소기업 88.5%가 기업 생존에 공동ㆍ협업 사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가 올해 7월부터 9월까지 10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공동ㆍ협업 사업 정책 지원을 위한 의견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88.5%(매우필요(41.2%)+다소필요(47.3%))가 공동ㆍ협업 사업이 기업 경영에 꼭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ㆍ협업 사업이란 중소기업들이 개별로 이룰 수 없는 경영활동을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수행해 경제적 효과를 도모하는 사업을 말한다. 공동구매‧판매, 공동마케팅, 사업 제휴 등이 그 예다.
공동ㆍ협업 사업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업 중 공동ㆍ협업 사업 필요 분야로는 △마케팅(57.0%), △구매(49.4%), △기술개발(45.5%) 순으로 조사됐다.
필요 분야로 마케팅과 기술 개발이 높게 나타난 것은 중소기업의 낮은 영업이익률과 전문인력을 채용할 수 없는 결과로 인한 수요로 판단되며 해당 분야의 공동‧협업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분석됐다.
공동ㆍ협업 사업 참여 경로는 조합‧단체 등에서 정보 제공을 통해서라는 응답이 68.5%로 가장 높았으며 이는 공동ㆍ협업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참여기업 외 별도의 추진주체가 필요함을 반영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89.2%(매우도움42.9%, 다소도움 46.3%)가 공동‧협업사업이 경영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으며, “도움이 안된다”는 10.8%로(별로 도움 안됨 9.2%, 전혀 도움안됨 1.6%) 조사됐다.
이는 중소기업이 공동‧협업 사업 참여에 대한 의지가 높은 만큼 기존의 개별기업 중심의 지원이 아닌 공동‧협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지원 마련이 필요한 시기가 온 것으로 풀이된다.
공동ㆍ협업사업 애로사항으로는 △사업 자금 확보(44.7%), △참여업체 간 이해관계 조정(40.4%), △사업 성공의 불확신으로 인한 참여 저조(25.2%)순으로 나타났다.
애로사항으로 “사업 자금 확보(44.7%)”가 크게 나타난 것은 정부의 협업 지원 자금 확대, 자금 지원 완화 등을 재점검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풀이되며, “참여업체 간 이해관계 조정(40.4%)”이 높게 나타난 것은 협업 추진주체, 참여기업간 ‘이익 배분’에 관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공동ㆍ협업사업이 필요한 이유는 △사업 투자비 절감 및 이익증가(32.9%), △해당 분야 정보 및 인력 부족(31.6%), △환경 변화에 대한 공동 대처 필요(21.4%) 순으로 나타났다.
이원섭 중기중앙회 회원지원본부장은 “대다수의 중소기업은 공동ㆍ협업 사업을 참여를 희망하고 있어 공동ㆍ협업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등 정책 지원이 시급하다”며 “공동ㆍ협업 사업의 활성화는 최근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 기업경영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