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정 등 공공기록물 130만여 점을 수집해 영구 보존하고 관리하는 오프라인 저장소 ‘서울기록원’이 2개월간 시범 운영을 마치고 15일 정식 개원했다. 2016년 4월 첫삽을 뜬 지 3년 만이다.
서울시는 이날 은평구 서울혁신파크 내 서울기록원 앞 광장에서 개원행사를 열었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시민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법률에 근거한 최상위 기록물관리기관인 서울기록원은 지하 2층~지상 5층, 연면적 1만5004㎡ 규모로 △전문 보존공간(지하 1~2층) △시민참여 공간(지상 1~3층) △기록물 작업공간(지상 4층)으로 구성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시민에게 완전하고 정확한 기록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록물을 제대로 투명하게 관리하는 일이 필수적”이라며 “서울시는 서울기록원을 세계적 수준의 아카이브로 성장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기록원은 토지이동측량원도, 면적측정부, 각종 사업 관련철 등 서울시가 보유한 100여 년 동안의 기록물과 향후 30년간 생산될 예측분을 포함해 총 130만 여 점을 영구 보관할 수 있다.
올 하반기에는 1968년부터 경북 청도의 서울시 문서고에 보관돼 온 시 중요 기록물 11만 점이 모두 서울기록원으로 이관된다.
서울시 행정 종이문서, 사진, 디지털문서, 영상 등 시정 기록물뿐만 아니라 세월호 추모리본, 추모글 등 사회적 기록물도 이곳에 영구 보존된다.
서울기록원은 지자체 기록물 관리 전문기관으로서 국가기록원 못지않은 수준의 관리 장비와 역량도 확보했다. 종전 각각 진행된 소독과 탈산 처리를 하나로 통합해 비용을 10분의 1로 줄이는 새로운 공법도 국내 최초로 도입했다.
이 밖에 서울시는 전시, 문화강좌, 초ㆍ중학생 현장 체험학습 등을 정기적으로 운영해 서울기록원의 브랜드 가치를 만들어간다는 방침이다.
박원순 시장은 “서울기록원이 서울의 백년, 천년 역사의 토대가 될 것”이라며 “공적기록은 독점 대상이 아니라 미래세대에게 물려줘야 할 공공재산이다. 시민의 알 권리를 위해 서울기록원을 시민과 공유하고 나누는 공간, 서울의 과거와 현재를 미래로 이어주는 기억 저장소로 만들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