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 美 엔터업계 4대 시상식 '토니 어워즈' 심사 참여

입력 2019-06-07 09: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토니어워즈 공식 홈페이지.(사진제공=CJ ENM)
▲토니어워즈 공식 홈페이지.(사진제공=CJ ENM)
CJ ENM이 세계적인 권위를 가진 공연 시상식인 '토니 어워즈(Tony Awards)'에 한국 기업 최초로 심사에 참여한다. CJ ENM은 이번 시즌 브로드웨이에 오른 34개 작품을 대상으로 최우수뮤지컬 부문을 포함한 총 26개 부문의 수상작을 가리는 투표권을 행사하게 된다.

오는 6월 10일 열리는 '제73회 토니 어워즈'에는 총 846개의 개인 또는 단체 유권자들이 심사에 참여한다. 심사단은 브로드웨이 리그 정회원, 아메리칸 씨어터 윙(ATW) 내 이사회 및 자문위원회 회원들을 비롯한 브로드웨이 주요 조합 대표자 등으로 구성되며, CJ ENM은 이 중 '브로드웨이 리그 정회원' 자격으로 투표권을 확보했다.

CJ ENM은 2004년부터 지금까지 영미시장에서 약 20편의 작품에 투자, 공동제작, 자체제작자로 참여해 크레딧을 올렸고, 2014년 미국 브로드웨이 프로듀서 및 극장 협회인 브로드웨이 리그의 공식 멤버로 승인된 바 있다. CJ ENM은 지난해 처음으로 '브로드웨이 리그' 정기 컨퍼런스에 참석한 데 이어 올해에는 '토니 어워즈'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게 됐다.

예주열 CJ ENM 공연사업본부 본부장은 "지난 10여년 동안 CJ ENM이 뚝심 있게 글로벌 진출을 향해 공을 들인 것이 한국기업 최초라는 권위와 명예를 얻은 것 같다"라며 "앞으로도 CJ ENM은 브로드웨이와 웨스트엔드에서 글로벌 프로듀싱 컴퍼니의 저력을 보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CJ ENM은 오는 6월 공동 프로듀싱 뮤지컬 '물랑루즈' 브로드웨이 개막을 앞두고 있다.

한편, '토니 어워즈'는 미국 엔터테인먼트 업계 4대 시상식 각각의 앞 글자를 따서 부르는 EGOT(에미, 그래미, 오스카, 토니) 중 하나로, 공연계 최고 권위의 시상식으로 꼽힌다. 배우 겸 브로드웨이 연출가였던 앙투아네트 페리를 기리기 위해 그녀의 애칭인 '토니'를 따 1947년에 창설됐다. '브로드웨이 리그'와 '아메리칸 씨어터 윙'이 주관한다.

올해 시상식은 오는 10일(현지 시간) 뉴욕 라디오시티 뮤직홀에서 진행되며, 미국 방송 CBS를 통해 생중계 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α 상호관세 부과…한국 25%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10:2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864,000
    • -1.73%
    • 이더리움
    • 2,711,000
    • -3.14%
    • 비트코인 캐시
    • 445,500
    • -1.66%
    • 리플
    • 3,063
    • -2.14%
    • 솔라나
    • 177,400
    • -4.93%
    • 에이다
    • 970
    • -2.81%
    • 이오스
    • 1,239
    • +23.53%
    • 트론
    • 350
    • -1.13%
    • 스텔라루멘
    • 390
    • -2.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300
    • -1.89%
    • 체인링크
    • 19,570
    • -4.44%
    • 샌드박스
    • 391
    • -2.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