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업계에 따르면 강남권 재건축 매매시장에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 매도자들은 집 팔 시기를 놓쳤다는 불안감에, 매수자들은 분양가 상한제가 도입되면 가격이 하락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 당장 거래에 나서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같은 분위기는 지난 10일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국회에서 열린 경제 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민간주택 분양가 상한제 도입에 대한 의지를 밝히면서 확산됐다. 당시 김 장관은 “분양가 상승률이 서울 주택가격 상승률의 2배가 넘을 만큼 높게 형성돼 있다”며 “검토할 때가 됐다. 대상과 시기, 방법에 대해 면밀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대치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은마아파트는 아직 구체적인 사업계획도, 일반분양 물량도 확정되지 않았지만 일단 상한제 타깃이 된다는 점에서 불안해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최근 강남 매매거래가 다시 살아나는 듯했으나 예상치 못했던 분양가 상한제 이슈로 다시 소강상태로 접어들 분위기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달 강남의 매매거래지수는 6.5로 전월보다 3.5포인트 올랐다. 여전히 한산함(93.5)지수가 높지만 거래가 점차 회복하는 추세였다.
관련 뉴스
반포동 한 공인중개사는 ”당장 재건축 매도 호가가 확 빠지는 건 아닌데 일반분양 물량이 많은 반포주공 1·2·4주구의 경우 매도가 급한 한 조합원이 호가를 1억∼2억 원이라도 낮춰서 팔겠다는 의사를 비쳤으나 살 사람이 없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민간택지에도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면 초과이익 환수로 어려움을 겪는 재건축 단지는 더 위축될 것”이라며 “적용 대상이 재건축인지, 재개발도 포함되는지, 유예 기간을 둘 것인지에 따라 시장에 미칠 영향 정도가 달라질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