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국내 최대 규모 하수처리시설인 ‘서남물재생센터’를 지하화ㆍ현대화했다. 일 처리 규모 36만 톤에 대한 공사가 완료, 9월부터 시범가동에 들어간다.
28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번에 시설현대화가 완료된 하수처리시설은 기존에 지상에 있던 시설을 철거한 후 새로운 시설을 지하에 집약한 것으로, 녹조와 수질 오염을 유발하는 인과 질소를 기존 방식에 비해 보다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최신 고도처리기술이 적용됐다.
또한, 비가 많이 내리면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되지 않는 하수와 빗물이 한강으로 유입돼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한 ‘초기우수처리시설’도 지하에 새롭게 설치했다.
특히 지상에 있던 시설이 지하화되면서 하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차단돼 인근 지역주민과 근무자들의 환경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악취를 근원적으로 저감하기 위한 탈취제 분사 시스템, 미생물 탈취기, 공기정화 식물 등 다단계 탈취시스템도 도입했다.
서울시는 지하화 된 하수처리시설 상부엔 공원과 광장, 체험농장, 물 홍보관 같은 주민 친화시설을 만들어 2021년 5월 시민에게 전면 개방하고, 나머지 하수처리시설도 단계적으로 완전 지하화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시설 노후화(건설 후 30년경과)와 최근 강화된 수질 환경 기준에 대응하고, 기피ㆍ혐오시설로 인식됐던 하수처리시설을 시대 흐름에 맞는 친환경ㆍ시민 친화적 시설로 재탄생시키기 위해 지하화와 시설 현대와 사업을 동시에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서남물재생센터’를 지하화ㆍ현대화하면서 최신 고도처리기술 적용을 통한 방류수 수질 강화했다. 현대화된 시설에는 생물학적으로 질소와 인을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해 국내 다수의 대용량 하수처리장에서 쓰이고 있는 공법(4-Stage BNR’)이 적용됐다.
시설현대화가 완료된 하수처리시설에는 최신 고도처리기술이 적용됐다. 방류수 수질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생물학적으로 질소와 인을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해 국내 다수의 대용량 하수처리장에서 쓰이고 있는 공법(4-Stage BNR)이 적용됐다.
하수처리 마지막 단계엔 더욱 정밀한 여과가 가능한 ‘중력식 섬유디스크 필터’를 거쳐 하수처리 효과를 극대화했다.
‘초기우수처리시설’(72만 톤/일)을 새롭게 도입했다. 그동안 센터에서 처리할 수 있는 하수량을 초과하는 경우엔 간이처리 후 방류했다면 앞으로는 모든 초기우수를 BOD, SS(부유물질) 40㎎/L 이하의 수질로 처리 후 방류할 수 있게 된다.
지하화로 악취를 차단하는 것은 물론, 악취를 근원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한 다단계 탈취시스템을 도입했다. 직원들의 노동여건을 개선하고 인근 지역 주민들의 악취 민원도 해소해나간다는 계획이다.
하수처리 후 생산되는 하수처리수(1일 36만 톤) 중 2만3000톤은 세척용수, 도로청소 용수, 화장실 세정수 등으로 재이용된다. 2만3000톤은 △물재생센터 내 세척용수(2만1960톤) △마곡지구 화장실 세정수(500톤) △인근 강서구 등의 도로청소 용수(40톤)로 사용된다.
하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 생산을 극대화해 신재생에너지로 활용하고, 인공지능제어 시스템 등 신 시설을 도입해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에너지 비용은 절감한다.
서울시는 나머지 시설에 대한 2단계 현대화 사업을 2020년 상반기부터 기본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 공사 중 하수처리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단계적 사업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내년 착공해 2021년 5월 시민에 개방되는 하수처리시설 상부 ‘물 홍보관’은 연면적 3,400㎡, 지상 3층 규모로 건립된다. ‘아랫물, 서울을 깨우다’라는 주제로 △전시공간 △어린이 체험공간으로 조성해 시민들에게 새로운 교육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정화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기피시설이었던 물재생센터가 친환경적이고 주민 친화적인 시설로 탈바꿈해 지역주민들의 새로운 쉼터로 거듭나고 있다”며 “물재생센터 시설현대화를 단계적ㆍ지속해서 추진해 악취 문제를 해소하고 한강의 수질도 더욱 개선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또한 “하수처리수 재이용,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에너지 자립화를 통해 저탄소ㆍ녹색성장 실현에도 지속 노력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