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200만 번째 특허가 등록됐다.
특허청은 생명공학 기업인 ‘오름테라퓨틱’의 종양 성장 억제에 관한 바이오 기술이 최근 특허 200만호로 등록됐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1948년에 중앙공업연구소(현 국가기술표준원)의 ‘유화염료 제조법’이 대한민국의 첫 번째 특허로 등록된 이래 71년 만에 달성한 기록이다.
특허 100만호(2010년)까지는 62년이 걸렸지만, 그 후 불과 9년 만에 특허 200만호를 달성했다.
최근 10년간 특허 등록은 109만건으로, 이전 61년간의 특허 등록(92만건)보다 많았다.
1980년대까지 2만여건을 기록하던 특허 등록 건수는 1990년대 들어 가파르게 늘어 22만건을 기록한 뒤, 2000년대에 67만건, 2010년대 이후 현재까지 100만건을 넘었다.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1980년대까지 특허 등록의 주류였던 화학 및 섬유 분야 비중은 작아지고, 2000년대 들어 반도체, 휴대전화 등 정보기술(IT) 분야 등록이 급증하며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특허에 기술 분류를 본격적으로 적용한 1980년 이후를 보면 1980년대에는 유기정밀화학과 섬유제지기계 분야의 등록이 가장 많았다.
1990년대 이후에는 주력 산업 변화에 따라 반도체, 컴퓨터기술, 토목공학, 디지털통신 등 IT 분야가 주류를 차지했다.
1980년대까지는 외국인이 전체 특허 등록의 73.2%로 절대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 우리 국민과 기업의 특허 등록이 본격적으로 늘면서 2000년대에는 내국인이 전체 특허 등록의 71.8%를 차지하며 외국인(28.2%)을 크게 앞질렀다.
한국을 겨냥해 반도체 소재 품목에 대한 수출규제에 나선 일본은 외국인 전체 특허 등록의 40~50% 정도를 꾸준히 점유하고 있으며, 등록 건수도 지속적으로 늘었다. 일본 다음으로 미국이 20~30%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등록 건수 또한 증가했다.
2010년대 들어서는 신흥 지식재산 강국인 중국이 우리나라의 주요 특허 등록국(3%대·5위)으로 등장했다.
전현진 특허청 정보고객정책과장은 “최근 미·중 무역전쟁과 일본 수출규제 등 기술 패권 경쟁이 치열한 환경에서 지식재산 기반 기술혁신이 중요한 상황”이라며 “특허 200만호를 계기로 지식재산권이 제대로 인정받고 활용되도록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