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품질 인증·위험 관리회사인 디엔브이지엘(DNV GL)은 ESS 화재와 관련해 화재 1건에 대한 심층 조사를 실시한 뒤 보고서를 냈다.
제3의 외부 안전인증기관이 ESS 화재를 조사해 결과를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ESS 화재 관련 보험사의 의뢰로 진행됐다.
DNV GL은 이 보고서에서 "안전 관리와 화재 예방 시스템이 미흡해 작은 결함으로 인한 사소한 오작동이 큰 화재로 번지는 것을 막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는 구체적인 사례나 제조업체를 명시하지 않은 채 '작은 제조상 결함'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니콜라스 레논 아시아·태평양 지역 부사장은 "이번 분석을 통해 한국의 안전 기준과 국제 안전 기준 간 차이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며 "이런 차이(한국의 안전기준 미흡)가 사소한 오작동을 더 빈번하게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작은 고장이 큰 화재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한국 ESS 개발회사들이 안전 모니터링, 화재 예방 체계를 수립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강력히 권고했다.
ESS를 둘러싼 환경에 문제가 있다는 것은 배터리 셀 업체가 여러 차례 주장한 내용이다.
임영호 삼성SDI 중대형전지사업본부장(부사장)은 지난 10월 14일 ESS 화재 방지 대책을 발표하면서 국내 ESS 운영의 부실함을 지적한 바 있다.
국내에서 2017년 8월부터 현재까지 2년여간 ESS 설비에서 발생한 화재 총 28건이다.
2017년 8월부터 정부가 합동조사 결과를 발표한 6월까지 1년 9개월 간 23건이 발생했다. 정부 발표 이후 현재까지 4개월간 5건이 추가로 발생했다.
특히 지난달에 닷새 사이에 경남 하동(10월22일), 경남 김해(10월27일)에서 2건이 연달아 발생했다. 화재가 난 ESS에 들어가는 배터리를 제조한 업체는 LG화학과 삼성SDI 등이다.
정부는 6월 조사결과 발표 당시 화재 원인을 특정하지 못한 채 일부 제조 결함과 배터리 보호 시스템, 운영 환경 관리 미흡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발표했다.
배터리 제조업체들은 "배터리 자체 결함은 아니다"라면서, 관리 미흡 등 외부 요인에 따른 화재를 막기 위해 △가동률 하향 △특수 소화시스템 등 예방 조치를 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