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성수 "외국계 금융사, 한국은 기회의 땅"

입력 2020-02-10 16: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은성수 금융위원장(왼쪽)이 1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외국계 금융회사 대표 간담회'에서 외국계 금융회사 대표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
▲은성수 금융위원장(왼쪽)이 1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외국계 금융회사 대표 간담회'에서 외국계 금융회사 대표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

"외국계 금융회사들은 혁신을 거듭하는 한국 금융시장에서 새로운 비즈니스를 발굴할 수 있을 것이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1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외국계 금융회사 대표 간담회'에서 이 같이 말했다.

이 자리에는 은 위원장을 비롯해 유광열 금융중심지지원센터장(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17개 외국계 금융회사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은 위원장은 "핀테크 스타트업과의 협업, 기업 중심 자금전환을 통한 자산운용시장 활성화, 연기금의 지속적 성장은 중요한 기회요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금융위와 금감원은 최근 금융정책 관련 주요현안과 국내 금융중심지 추진여건에 대해 설명하고 그간 제기된 외국계 금융회사의 주요 건의사항과 관심사에 대한 처리상황을 소개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에 진입한 외국계 금융회사는 은행 54개, 증권 23개, 자산운용 27개, 투자자문 9개, 보험 29개, 여전 13개, 저축은행 8개 등 총 163곳에 이른다. 권역별로 보면 아시아에서 67곳, 유럽에서 54곳, 아메리카에서 36곳, 호주에서 5곳, 아프라카에서 1곳 순이다. 국가별로는 미국에 본사를 둔 금융회사가 33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일본(21곳) 독일(14곳)·프랑스(14곳) 영국(11곳)·중국(11곳) 싱가포르(10곳) 등이 뒤를 따랐다.

이날 간담회에서 외국계 금융회사는 계열사간 정보공유, 내부통제 관련규제를 완화해 보다 원활한 영업활동을 지원해달라고 건의했다. 또 법ㆍ규정에 대해 금융당국의 해석과 의견이 바뀌는 등 규제체계의 불확실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은 위원장은 "간담회에서 건의된 애로사항이 최대한 해소될 수 있도록 관련사항을 소관부서와 공유해 업무에 참고토록 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외국계 금융회사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관련 영업활동 예외상황 인정, 가이드라인 배부 등의 조치를 요청했다. 은 위원장은 "예외적인 경우 재택근무를 위한 조치 등 유사한 사태 발생시 행동요령을 고민해 보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701,000
    • -1.04%
    • 이더리움
    • 4,164,000
    • +2.41%
    • 비트코인 캐시
    • 494,800
    • -0.98%
    • 리플
    • 4,004
    • -2.63%
    • 솔라나
    • 272,000
    • -5.36%
    • 에이다
    • 1,226
    • +5.42%
    • 이오스
    • 961
    • +0.31%
    • 트론
    • 368
    • +0.82%
    • 스텔라루멘
    • 510
    • -1.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850
    • -0.25%
    • 체인링크
    • 29,110
    • +1.96%
    • 샌드박스
    • 602
    • +1.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