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일자리 수석 출신, 공약 현실 이행 가능" vs 오 "초중고 '토박이', 공정채용 감독 강화"
관악구는 전국에서 가장 '젊은' 지역구다. 가족 단위 주거지도 많지만 신림동을 중심으로 청년층 비율은 전국에서 가장 높다. 관악구청 통계정보에 따르면 19~34세에 해당하는 청년 인구 비율은 30.6%이며, 2030을 아우르면 40%가 훌쩍 넘는다.
저렴한 원룸이 대려 몰려 있단 게 최대 이유로 꼽힌다. 사법시험이 폐지된 뒤 대학동, 난곡동, 미성동 등은 원룸촌으로 탈바꿈, 저렴한 월세 덕분에 직장인과 공시생이 몰렸다. 다만 교통이 여전히 불편하고 인프라가 열악한 낙후된 지역이란 평가를 받는다. 자연스레 4·15 총선에서 청년 관련 공약과 이를 이행할 수 있는 능력에 집중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관악을은 특히 이번 총선의 최대 격전지 중 하나로 꼽힌다. 13대 총선부터 전통적인 진보진영 텃밭이었던 관악을은 2015년 재보궐선거와 2016년 20대 총선에선 보수정당에 기회를 줬다. 이곳에서 정태호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오신환 미래통합당 후보가 세 번째 맞대결을 펼친다. 20대 총선에서 두 후보의 표 차이는 불과 861표(0.7%). 21대 총선도 예측불허의 판세 속에 두 후보는 청년 공략에 나서고 있다.
[
청와대 정책기획비서관과 일자리 수석 비서관 출신인 정 후보는 국가운영 경험을 강점으로 내세우며 "관악을 통째로 바꾸자"고 외쳤다. 정 후보는 관악구를 대한민국 실리콘 밸리로 만들겠다는 창업·벤처 밸리 조성 공약을 선보였다. 또 난곡선 경전철을 조기 착공해 교통 소외지역을 극복하고 쇠퇴한 신림역 상권을 서울 중심 상권으로 부활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공약들은 현 정부와 서울시의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책·재정적 지원 현실화는 야당보다 유리하다고 정 후보는 자신했다. 민주화 운동 경험과 노무현, 문재인 정부에서 공직자의 길을 걸은 것이 공직자를 희망하는 청년이 많은 관악을 유권자들에게 호소할 수 있단 기대다.
관악에서 태어나 초·중·고를 모두 졸업한 '순수 토박이' 오 후보는 재선 국회의원으로 원내대표에 올라 각 정당 이견을 조율하는 큰 역할을 맡았다. 상임위 활동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은 그는 지역이 배출한 인재라는 의미로 "더 크게 써달라"고 유권자들에게 호소했다. 오 후보는 과거 관악이 27년 동안 정체된 이유는 민주당 텃밭이었기 때문이라 주장하며 '조국 사태'를 언급, 정의와 공정을 강조했다. 그는 변호사예비시험 제도를 도입해 로스쿨 제도를 개선하고, 대입 정시모집 비율을 50%로 대폭 상향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또 청년참여형 공정채용 감시·감독기구를 구성하고, 고위직 공직자의 부정채용 청탁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1일 관악을 주된 민심은 청년 공약에 관심을 두면서도 정작 공약이 현실적 문제는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학동 주민 김 모 씨(남, 31)는 "현 제도가 청년 입장을 대변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위에서 보기에 '그들은 그럴 것이다'는 판단이 깔린 것 같다"며 "취지는 이해하지만 사실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대학동 거주 대학원생이라는 이모 씨(남, 31)는 "청년 문제 중 일자리와 주거 문제가 가장 크다고 생각한다"면서 "일자리 문제보다 주거 문제는 정책으로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데 문제는 위에서 생각하는 것과 청년이 생각하는 게 다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위에서 청년 주거는 '단순 임시 거주 지역'으로 생각하고 셰어하우스 등의 제도를 내놓고 있다. 청년은 대학방 자취 측면만 생각하는 것"이라면서 "사실 우리 청년도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주거를 찾고 싶다"고 꼬집었다.
서울대 대학원생 김모 씨(남, 24)는 "주요 후보자 공약은 창업과 주거 지원이 핵심인 것 같다. 하지만 말 뿐에서 그치는 것은 아닌지 실효성은 의문이다"면서 "관악구 특성상 청년이 많다 보니 매번 공약이 반복되는 것 같다. 그동안 지내면서 실질적으로 해결됐다고 체감하기 어렵다 보니 이번 공약 역시 사실 큰 기대는 없다"고 말했다.
서울대 학부생 정모 씨(남, 26)는 "남들이 고학력이라고 말하는 서울대도 취업시장이 어렵다. 점점 고스펙화되고 있다 보니 취업 관련 제도가 제대로 마련되고 실질적인 변화가 뒤따랐으면 좋겠다"고 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공약 자체를 체감하기 어렵다는 분위기도 있었다. 대학동 주민 박모 씨(남, 24)는 "복사실에서 근무하는데 최근 발주하는 인쇄 수가 줄었다. 매출도 급감하고, 주변 학원가도 사정이 좋지 않은 것 같다"면서 "아무래도 이 동네가 고시 준비하는 청년들이 많아 청년 공약이 많은 것 같은데 체감될 분위기는 아닌 것 같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신림동에서 콩나물국밥 집을 운영하는 최모 씨(48, 여)는 "코로나19 영향도 있지만 사실 관악 거주 청년 자체가 줄어들고 있다. 사법시험 폐지 기점으로 청년들이 줄기 시작했다"면서 "단골 중에서 사시 준비생이 경찰공무원 등 공무원시험으로 전향하는 청년들도 많아졌다. 그런데 이마저도 쉽지 않았나 보다. 포기하는 인원도 늘면서 동네를 떠나게 된 거다"고 경제적 어려움을 토로했다.
청년의 정치적 무관심도 여전히 엿보였다. 미성동 주민이라는 한 남성(20대)은 "이번 총선에 관심이 없다. 정치인은 거기서 거기라는 생각이 든다"면서 "결국 다 자기 밥그릇 싸움으로 가다 보니 어느새 나도 정치에 무관심하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