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댐 상류 왜가리 떼죽음 직접적인 원인 확인 안돼"

입력 2020-05-13 16: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안동댐 왜가리 번식지. (사진제공=대구지방환경청)
▲안동댐 왜가리 번식지. (사진제공=대구지방환경청)

안동댐 상류에서 왜가리가 집단 폐사한 데 대해 환경청이 결국 폐사 원인을 밝히지 못했다.

대구지방환경청은 안동댐 상류 지역에 위치한 왜가리 번식지에서 폐사체가 지속 발생됨에 따라 중금속 등에 의한 폐사 여부를 밝히고자 2018년부터 추진한 안동댐 왜가리 폐사원인 분석 연구용역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경북대 산학협력단 수의과대학 연구팀이 수행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왜가리의 폐사에 질병이나 중금속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2018년 12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11개월에 걸쳐 안동댐 지역 7개체, 타지역(봉화·영주) 4개체 등 총 11개체를 대상으로 병원체 검사, 중금속 검사, 외상 및 내장부검 등 3개 분야에 대해 정밀 분석을 실시했다.

병원체 검사결과 대장균, 살모넬라 및 가금콜레라와 같은 세균성 질병의 감염은 없었으며,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AI)도 확인되지 않았다.

총 9개 항목의 중금속(수은, 납, 카드뮴, 비소, 구리, 아연, 니켈, 세슘, 크롬) 분석결과 카드뮴과 비소는 미검출, 중금속은 미량 검출됐다.

안동댐 인근 왜가리와 타지역 왜가리 비교 시 일부 항목에서 안동댐 인근 왜가리의 체내 중금속 농도가 약간 높기는 하나, 유의성 있는 중금속 수치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조사된 중금속 농도가 왜가리의 생리활성에 비정상적 요인으로 작용할만한 수치로 검출되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수은은 안동댐 인근 왜가리에서는 0.63㎍/g으로 대조군인 타지역 왜가리(0.28㎍/g)보다 높게 검출됐으나, 폐사가 일어날 수 있는 농도(8.5㎍/g) 보다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 및 내장 부검 결과 심장, 간, 폐 등 모두 정상이었고 이상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폐사한 일부 개체에서 관찰된 날개와 다리 부분 출혈과 머리 부분 천공은 둥지에서 떨어지거나 다른 동물의 공격 때문으로 추정됐다.

정경윤 대구지방환경청장은 "이번 연구는 2017년과 2018년 폐사한 왜가리 사체를 확보하기 어려워 2019년에 폐사한 왜가리를 주대상으로 한 한계는 있다"며 "앞으로 왜가리 번식지 보호를 위해 안동시와 협의해 보전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상추에 배추·무까지…식품업계, 널뛰는 가격에 불확실성 고조 [식탁 지배하는 이상기후]
  • 단독 한달 된 '실손24' 60만 명 가입…앱 청구 고작 0.3% 불과
  • 도쿄돔 대참사…대만, 일본 꺾고 '프리미어12' 우승
  • "결혼 두고 이견" 정우성ㆍ문가비 보도, 묘한 입장차
  • ‘특허증서’ 빼곡한 글로벌 1위 BYD 본사…자사 배터리로 ‘가격 경쟁력’ 확보
  • [식물 방통위] 정쟁 속 수년째 멈춤…여야 합의제 부처의 한계
  • 이재명 오늘 '위증교사' 선고...'고의성' 여부 따라 사법리스크 최고조
  • "9만9000달러는 찍었다"…비트코인, 10만 달러 앞두고 일시 횡보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11.25 10:4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827,000
    • -1.39%
    • 이더리움
    • 4,612,000
    • -3.43%
    • 비트코인 캐시
    • 697,500
    • -3.06%
    • 리플
    • 1,911
    • -7.19%
    • 솔라나
    • 344,500
    • -4.39%
    • 에이다
    • 1,370
    • -8.36%
    • 이오스
    • 1,128
    • +3.68%
    • 트론
    • 286
    • -4.35%
    • 스텔라루멘
    • 702
    • -0.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93,900
    • -5.06%
    • 체인링크
    • 24,340
    • -2.21%
    • 샌드박스
    • 1,042
    • +65.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