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기업 3곳 중 1곳이 재택근무, 화상회의 등 원격근무 방식을 도입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국내기업 300여 곳의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업무방식 변화 실태’를 조사한 결과 ‘코로나19 이후 원격근무를 시행했다’고 응답한 기업은 34.3%라고 30일 밝혔다. 코로나19 이전보다 4배 이상 증가한 수준이다.
세부적으로는 코로나19 이전 원격근무를 시행하는 기업은 대기업 9.7%, 중견기업 8.2%, 중소기업 6.7% 등이었는데, 코로나19 이후 이는 대기업 45.8%, 중견기업 30.6%, 중소기업 21.8% 등으로 커졌다.
대부분의 기업이 ‘출장ㆍ외근’(93.9%), 집체교육(95.8%), 회식(97.1%) 등 외부활동이나 사람이 모일 수밖에 없는 활동을 크게 줄였다. ‘정례회의’(74.0%), ‘대면보고’(43.9%) 등 경영상 불가피한 활동도 생략하거나 비대면 방식으로 대체했다.
비대면 업무방식은 애초 우려와 달리 부작용이 크지 않았다. ‘비대면 업무 시행 후 업무효율성이 떨어졌다’는 응답은 전체 중 16.4%에 그쳤다. 기업 대부분은 업무효율성이 이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좋아졌다고 답했다.
직원 만족도도 높아졌다. ‘원격근무, 화상회의 등 비대면 업무에 대한 직원 만족도가 어땠는지’를 묻는 말에 ‘만족도가 높았다’(82.9%)는 응답이 ‘불만족했다’(17.1%)는 응답을 크게 웃돌았다.
이와 달리 대다수 기업은 비대면 업무방식을 지속하는 데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드러났다. 장기적으로는 기존 방식과 불협화음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이후 원격근무를 지속하거나 도입할 계획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전혀 없음’이 70.8%를 차지했다. 원격근무 도입계획이 없다고 답변한 기업 중 72.8%는 화상회의, 온라인 보고 등 비대면 업무방식을 확대할 의향도 없다고 답했다.
비대면 업무방식 확대를 꺼리는 이유로는 ‘기존 업무방식과 충돌해서’(62.9%)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업무진행속도 저하 우려’(16.7%), ‘정보보안 우려’(9.2%), ‘인프라 구축비용 부담’(7.0%) 등도 있었다.
‘비대면 업무 확대를 위한 선결과제’를 묻는 말에는 ‘보고ㆍ지시 효율화’라는 답변이 51.8%로 가장 많았다. ‘임직원 인식ㆍ역량 교육’(28.1%), ‘보안시스템 구축’(23.8%), ‘성과평가ㆍ보상제도 재구축’(15.3%), ‘팀워크 제고방안 마련’(9.5%) 등도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비대면 업무방식이 업무방식 효율화를 위한 과정인지, 업무방식 효율화를 이룬 후의 다음 단계인지에 대한 기업 간 견해차가 있었다”면서 “기업마다 처한 환경이 다른 만큼 업종 특성과 현재 업무방식의 효율성, 인프라 구축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비대면 업무방식 확대 여부를 저울질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글로벌 흐름에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의 시각도 있다. 구글, 트위터 등 미국 IT기업들은 연이어 원격근무 확대를 발표하고 있다. 제조기업인 일본의 도요타도 재택근무를 전 직원의 1/3까지 확대했다.
박준 대한상의 기업문화팀장은 “IT기술의 발달과 구성원들의 인식변화를 고려할 때 비대면 업무방식은 피할 수 없는 흐름”이라며 “코로나19가 변화를 가속하고 있는 만큼, 우리 기업들도 업무방식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키우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