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된 7월 24일 서울 세종대로에서 우산을 쓴 시민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https://img.etoday.co.kr/pto_db/2020/07/20200708201603_1482272_1000_666.jpg)
7월 전력거래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크게 줄었다. 전례 없던 긴 장마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분석된다.
8일 전력거래소의 '7월 전력시장 운영실적'에 따르면 지난 7월 전력거래량(잠정치)은 437억5만kWh(킬로와트시)로 전년 동기 대비 6.5% 급감했다.
긴 장마로 평균기온이 작년보다 2.4℃ 낮아지면서 냉방수요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또 코로나19 확산으로 제조업 평균가동률이 작년 7월 74.5%에서 올해 7월 68.3%로 6.2%포인트 하락한 영향도 작용했다.
전력거래량은 전력시장에서 발전사와 한전 간에 실제 거래되는 수요량, 공급량, 발전량 등을 포함한 수치다.
관련 뉴스
전력수요가 감소하고, 유가 하락 등의 여파로 액화천연가스(LNG) 열량 단가가 하락하면서 통합 전력도매가격(SMP:계통한계가격)도 kWh당 71.25원으로 1년 전 79.76원보다 10.7% 떨어졌다.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거래도 장마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7월 기준 태양에너지 설비는 423만9000kW(킬로와트)로 작년 7월보다 38.7% 늘었으나 태양에너지로 생산된 전력거래량은 370GWh(기가와트시)로 15.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올해 6월(489GWh)에 비해선 오히려 32% 급감했다.
풍력에너지 전력거래량은 이 기간 16.2% 감소했으나 수력 에너지는 44.0% 급증했다. 연료전지도 66.5% 늘었다.
이에 따라 7월 전체 신재생에너지 전력거래량(한전 거래분 제외)은 작년보다 21.0% 늘어난 1653GWh로 집계됐다. 전체 전력거래량의 3.8% 수준이다.
신재생에너지 총 설비용량은 991만7kW, 전체 설비용량(1조2271만kW)의 8.1%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