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 아파트 절반은 중형으로 채운다

입력 2020-09-08 14: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택 수요층 90%가 전용 60㎡ 이상 원해…업계 “새로운 시도 긍정적” 평가

(제공=국토교통부)
(제공=국토교통부)

정부가 실수요자를 위한 주택 공급을 최대로 확대하겠다는 메시지를 던졌다. 3기 신도시 등 신규 조성하는 공공분양아파트 단지에 3~4인 가족도 살 수 있는 중형급(전용면적 60∼85㎡) 공급을 전체 물량의 최대 50%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소형 위주의 기존 공급 틀을 깬 결정으로 변화하는 수요층 요구를 반영한 조치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8일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 장관 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공공주택 공급 방안을 발표했다.

국토부는 공공분양 단지에서 전용 60∼85㎡ 규모 주택 비율을 30~50%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현행 법규상 공공분양 단지에서 전용 60∼85㎡ 비율은 15%를 넘지 못하게 돼 있다. 하지만 정부는 법규를 개정해 최대 50%까지 공급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공공택지 내 민간 단지에선 전용 60~85㎡ 주택이 통상 60% 이상(85㎡ 초과는 20% 이상) 공급된다.

국토부는 공공분양주택의 평면 개발, 주택 품질 및 디자인 개선 방안도 마련 중이다.

민간 건설사가 짓는 브랜드 아파트 추세를 따라 기존 평면 대비 수납공간을 1.8배로 늘리고, 4베이 구조를 적용한 전 가구 남향 배치로 주거 성능을 높일 계획이다. 가변형 벽체와 빌트인 가구, 다용도 알파룸도 배치키로 했다. 민간분양주택은 토지 분양 시 디자인 계획을 평가항목에 반영해 쾌적한 설계를 유도할 방침이다.

이 같은 변화는 최근 소비자들의 요구를 수용한 결과다.

국토부가 3기 신도시 ‘청약일정 알리미 서비스’를 신청한 12만여 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신청자의 60%가 원하는 가구 면적으로 전용 60~85㎡를 선택했다. 이어 전용 85㎡ 초과가 29%로 10명 중 9명이 중형 이상의 집을 원했다. 전용 60㎡ 이하는 10%에 불과했다.

김흥진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면적이 커지면 분양가는 올라가겠지만 주변 시세 대비 30% 정도 저렴한 가격에 공급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민간 업계의 대세를 따라 공공주택의 면적을 늘리고 설계를 개선한 정부의 정책 변화에 대해 시장은 대체적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신혼부부도 자녀를 낳으면 더 큰 집이 필요하니 이런 정책 방향은 좋다”면서 “공공아파트라고 무조건 저렴하게 지으라는 법은 없으니 이런 고정관념을 깨는 시도는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제공=국토교통부)
(제공=국토교통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원 게시판 논란'에 연일 파열음…與 균열 심화
  • 코스닥·나스닥, 20년간 시총 증가율 비슷했지만…지수 상승률은 ‘딴판’
  • 李 열흘만에 또 사법 리스크…두 번째 고비 넘길까
  • 성장률 적신호 속 '추경 해프닝'…건전재정 기조 흔들?
  • 민경훈, 뭉클한 결혼식 현장 공개…강호동도 울린 결혼 서약
  • [이슈Law] 연달아 터지는 ‘아트테크’ 사기 의혹…이중 구조에 주목
  • 유럽 최대 배터리사 파산 신청에…골드만삭스 9억 달러 날렸다
  •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서 “한반도 노동자, 위험하고 가혹한 환경서 노동”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600,000
    • -1.8%
    • 이더리움
    • 4,595,000
    • -0.99%
    • 비트코인 캐시
    • 682,500
    • -6.57%
    • 리플
    • 1,907
    • -10.8%
    • 솔라나
    • 341,500
    • -3.59%
    • 에이다
    • 1,380
    • -8.06%
    • 이오스
    • 1,140
    • +6.15%
    • 트론
    • 285
    • -4.36%
    • 스텔라루멘
    • 736
    • +20.66%
    • 비트코인에스브이
    • 93,250
    • -6.56%
    • 체인링크
    • 22,990
    • -2.71%
    • 샌드박스
    • 831
    • +50.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