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앤알바이오팹, 귀 재건용 생분해성 인공지지체 국내 최초 IND 승인

입력 2020-12-28 11: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환자 맞춤형 귀 재건용 생분해성 인공지자체(임플란트) (사진제공=티앤알바이오팹)
▲환자 맞춤형 귀 재건용 생분해성 인공지자체(임플란트) (사진제공=티앤알바이오팹)

3D 바이오프린팅 전문 기업 티앤알바이오팹이 외측성 소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귀 재건용 환자맞춤형 생분해성 인공지지체(임플란트, 제품명 ‘티앤알 벨라포어-E’)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28일 밝혔다.

이에 따라 티앤알바이오팹은 강남세브란스병원 성형외과 윤인식 교수팀과 해당 인공지지체의 연구자 주도 탐색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로써 환자맞춤형 귀 재건용 생분해성 인공지지체를 임상에 적용하는 국내 최초 사례가 된다.

소이증(小耳症, microtia)은 선천적으로 한쪽 또는 양쪽의 귀가 정상보다 훨씬 작고 모양이 변형된 상태의 질환이다. 소아 6000명 중 1명 수준으로 발생하고 두 귀 중 한쪽 귀가 저성장 상태인 외측성 소이증이 일반적이다.

소이증 치료를 위해 기존에는 환자 본인의 가슴연골 또는 비흡수성 재료를 이용해 귀에 이식하는 수술 방법이 주로 쓰였다. 그러나 이 수술법들은 환자의 가슴연골을 적출해야 하는 부담감이나 기존 비흡수성 재료로 유발되는 염증 반응 문제 등 임상적 한계가 지적돼왔다.

티앤알바이오팹의 환자맞춤형 귀 재건용 인공지지체는 독자적인 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소이증 환자의 정상 귀와 동일하게 설계ㆍ제작되며, 특히 생분해성(생체흡수성) 재료를 사용해 이식 후에는 인공지지체가 서서히 분해되면서 환자 본인의 조직으로 대체된다는 것이 장점이다. 또 임상 개발이 완료되면 소아 소이증 환자에게도 기존 수술법 대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티앤알바이오팹과 강남세브란스병원은 외측성 소이증을 갖고 있는 성인 환자 대상의 연구자 주도 임상을 통해 종래의 수술 방법을 재평가하고, 환자맞춤형 귀 재건용 생분해성 인공지지체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티앤알바이오팹 연구진는 “이번 IND 승인은 식약처와의 3년에 걸친 긴밀한 논의 끝에 이룬 의미 있는 성과”라며 “환자맞춤형 귀 재건용 생분해성 인공지지체의 국내 첫 임상을 통해 외측성 소이증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계기를 마련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수술이 어려웠던 소아 환자들에게도 효과적인 치료의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티앤알바이오팹은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기반으로 △생분해성 의료기기 △조직ㆍ장기 바이오프린팅을 위한 바이오 잉크 △체외 시험을 위한 오가노이드 △3D프린팅 세포 치료제를 연구개발 및 생산하는 기업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975,000
    • -1.18%
    • 이더리움
    • 4,090,000
    • +0.52%
    • 비트코인 캐시
    • 495,600
    • -0.98%
    • 리플
    • 4,024
    • -3.73%
    • 솔라나
    • 277,200
    • -4.97%
    • 에이다
    • 1,204
    • +2.56%
    • 이오스
    • 955
    • -0.93%
    • 트론
    • 369
    • +2.5%
    • 스텔라루멘
    • 513
    • -1.9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250
    • +0.58%
    • 체인링크
    • 28,800
    • +0.42%
    • 샌드박스
    • 596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