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올해 한국 콘텐츠에 5500억 투자

입력 2021-02-25 16: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넷플릭스 콘텐츠 로드쇼에서 밝혀

▲김민영 넷플릭스 한국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 콘텐츠 총괄 부사장(VP)은 25일 올해 계획을 밝히고 있다. (사진제공=넷플릭스코리아)
▲김민영 넷플릭스 한국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 콘텐츠 총괄 부사장(VP)은 25일 올해 계획을 밝히고 있다. (사진제공=넷플릭스코리아)

넷플릭스가 올해 한국 콘텐츠에 약 5500억 원을 투자한다고 25일 밝혔다.

김민영 넷플릭스 한국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 콘텐츠 총괄 부사장(VP)은 25일 열린 넷플릭스 콘텐츠 로드쇼에서 “올해 한국 콘텐츠에 약 5억 달러(약 5500억 원)를 투자하겠다”고 했다. 이날 행사는 넷플릭스 서비스 시작 5주년을 기념하고 미래를 다지기 위해 마련됐다.

5억 달러는 지난 5년간 넷플릭스가 한국에서 투자한 금액의 70% 가량이다. 넷플릭스는 2016년부터 한국 콘텐츠에 총 7억 달러를 투자했다.

넥플릭스는 올해 ‘킹덤: 아신전’, ‘좋아하면 울리는2’, ‘무브 투 헤븐’, ‘D.P.’, ‘마이네임’ 등 다양한 오리지널 콘텐츠를 선보인다. ‘카터’, ‘모럴 센스’ 등 오리지널 한국 영화도 제작할 방침이다.

김민영 총괄은 “2016년은 넷플릭스가 한국에 처음 정착한 해이기도 하지만 전 세계 190개국으로 서비스 확대한 해라는 점에서 굉장한 의미가 있다”며 “2016년 넷플릭스 정착 당시 가장 많이 들은 이야기가 ‘찻잔 속의 태풍’이란 말이었다”고 했다. 이어 “한국의 감독, 작가, 배우님, 제작진분들이 없었다면 오늘 저희는 이 자리에 서지 못했을 것”이라며 “이 자리를 빌려 감사드린다”고 했다.

김 총괄은 디즈니플러스의 국내 진출 등으로 OTT 시장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데 환영 입장을 내놨다. 그는 “소비자에겐 선택지가 늘어나고, 그로 인해 산업이 동반 성장하는 게 좋은 현상”이라며 “지금은 파이를 키워나갈 때이지 작은 파이를 갖고 싸울 때는 아니다”고 했다.

넷플릭스는 다양한 사업자와의 협업 가능성도 열어 놨다. 김 총괄은 “수준 높은 한국 콘텐츠를 보여드리기 위해 다양한 분들과 협업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최근 넷플릭스는 김태호 MBC PD와의 협업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김 총괄은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데는 국경이 없다”며 “넷플릭스는 글로벌 서비스인 만큼 다른 사고와 세상, 문화를 배울 수 있는 창이 되고 싶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기왕 할 알바라면…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주휴수당'도 챙기세요 [경제한줌]
  •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서 머리 다친 피해자 결국 사망
  •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폭발적 반응…챗GPT가 알려준 현 상황은? [해시태그]
  • 김수현 "김새론과 5년 전 1년여간 교제"…미성년자 시절 교제 재차 부인
  • 의대생 돌아왔지만…교육부 “실제 수업 정상 참여가 복귀”
  • 발란, 결국 기업회생 신청…최형록 “회생 인가 전 M&A 목표”
  • "결국 구기종목"…'골프공'이 골프채보다 비쌌다 [골프더보기]
  • 'NC파크 사망자 애도' KBO, 내달 1일 전 경기 취소…주중 창원 경기도 연기
  • 오늘의 상승종목

  • 03.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800,000
    • +0.16%
    • 이더리움
    • 2,730,000
    • +0.78%
    • 비트코인 캐시
    • 450,000
    • -1.06%
    • 리플
    • 3,133
    • -2%
    • 솔라나
    • 188,400
    • +1.29%
    • 에이다
    • 973
    • -2.6%
    • 이오스
    • 951
    • +5.67%
    • 트론
    • 352
    • +2.33%
    • 스텔라루멘
    • 39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300
    • -1.07%
    • 체인링크
    • 20,090
    • -0.74%
    • 샌드박스
    • 406
    • +0.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