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이 조기 긴축 망설이는 이유...인플레는 착시현상?

입력 2021-06-07 16: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S&P500 포함 기업 올 1분기 EPS, 1년 전 대비 225% 폭증
2년 전과 비교하면 32% 증가에 불과

▲S&P500 포함 기업의 분기별 실적 증감 추이. 파란선-2년 전 대비 올해/노란선-1년 전 대비 올해 출처 WSJ
▲S&P500 포함 기업의 분기별 실적 증감 추이. 파란선-2년 전 대비 올해/노란선-1년 전 대비 올해 출처 WSJ
인플레이션 신호가 곳곳에서 감지된다. 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3년 만에 최대 폭 상승했고 5월 일자리는 전달에 비해 두 배 증가했다. 물가가 뛰고 고용이 호조를 보이면서 인플레 우려도 커져간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조기 긴축 가능성이 고개를 드는 이유다. 그러나 현재 경제상황을 기저효과의 관점에서 접근했을 때 판단이 달라질 수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6일(현지시간) 분석했다.

기저효과는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가 실제보다 위축되거나 부풀려지는 등 왜곡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일종의 착시현상이다.

연준이 최근 경제지표를 두고 고민을 거듭하고 있는 것도 기저효과를 인플레이션으로 왜곡하지 않기 위해서다.

가령 S&P글로벌에 따르면 올 1분기 S&P500 포함 기업들의 주당순이익(EPS)는 전년 동기 대비 무려 225% 폭증했다. 이 수치만 놓고 보면 기업들의 실적이 대폭 늘어났다. 문제는 1년 전을 기준시점으로 잡았을 때 계산이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는 데 있다. 지난해 1분기는 기업들이 코로나로 치명타를 입은 시기이기 때문이다.

비교시점을 2년으로 넓힐 경우 얘기는 달라진다. 올 1분기 기업들의 EPS는 2년 전 대비 32% 증가에 그친다. 지난해 타격이 워낙 컸기에 정상으로 회복된 것임에도 실적이 엄청나게 치솟은 것처럼 착각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소비자물가지수도 마찬가지다. 올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4.2%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연준의 물가 목표치 2%의 두 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그러나 1년 전 상황을 따져보면 물가는 거의 바닥이었다. 호텔 숙박비, 비행기 운임료, 자동차 렌탈비 등 서비스 가격은 완전히 붕괴됐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지 않고 4%만 떼놓고 판단하면 가격 인상에 대한 과장된 접근이 될 수 있다.

이번 주 발표되는 5월 CPI도 시장 전망치는 4.7%에 달하지만 작년 5월 휘발유, 항공요금 등 제품과 서비스 가격은 이동 금지 조치로 바닥을 쳤다.

미셸 마이어 bofa증권 미국 경제 담당자는 “위축된 기준시점은 올해 상황을 과장되게 만든다”면서 “4월 인플레가 평소보다 약간 더 높은 수준일 뿐 훨씬 더 높은 추세는 결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코로나 이전 10년간 평균 소비자물가지수는 2년 마다 3.5%씩 올랐다. 코로나 충격을 배제하면 경제활동은 거의 정상으로 돌아온 것에 가깝다는 의미다.

마이어는 “경제에서 단기 요인을 장기에서 분리시키는 게 어려운 일”이라고 강조했다.

연준이 2일 공개한 베이지북에서 경기회복 속도가 다소 빨라지고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에 여전히 신중한 이유도 바로 이 같은 기저효과에 따른 경제 현상 왜곡을 경계하고 있어서다.

노던트러스트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칼 테넌바움은 “기저효과가 올해 말 사라질 것”이라면서도 “장기 인플레에 대한 확고한 판단을 하기가 쉽지 않다. 현재 경제 상황에서 장기 인플레 궤도가 바뀌지 않을 것으로 보지만 실수 가능성도 높은 게 사실”이라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원 게시판 논란'에 연일 파열음…與 균열 심화
  • 코스닥·나스닥, 20년간 시총 증가율 비슷했지만…지수 상승률은 ‘딴판’
  • 李 열흘만에 또 사법 리스크…두 번째 고비 넘길까
  • 성장률 적신호 속 '추경 해프닝'…건전재정 기조 흔들?
  • 민경훈, 뭉클한 결혼식 현장 공개…강호동도 울린 결혼 서약
  • [이슈Law] 연달아 터지는 ‘아트테크’ 사기 의혹…이중 구조에 주목
  • 유럽 최대 배터리사 파산 신청에…골드만삭스 9억 달러 날렸다
  •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서 “한반도 노동자, 위험하고 가혹한 환경서 노동”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508,000
    • -1.19%
    • 이더리움
    • 4,648,000
    • -2.43%
    • 비트코인 캐시
    • 706,500
    • +0.5%
    • 리플
    • 1,952
    • -5.15%
    • 솔라나
    • 348,000
    • -1.94%
    • 에이다
    • 1,401
    • -5.21%
    • 이오스
    • 1,157
    • +8.64%
    • 트론
    • 287
    • -2.71%
    • 스텔라루멘
    • 780
    • +1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400
    • -2.23%
    • 체인링크
    • 24,300
    • -0.74%
    • 샌드박스
    • 844
    • +40.4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