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는 최근 빈발하고 있는 도시철도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까지 차량 내부에 CCTV를 설치하도록 각 운영기관에 시정조치를 내렸다고 22일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도시철도법 적용을 받는 철도의 경우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9호선, 인천교통공사가 운영하는 2호선, 우이신설경전철, 의정부경량전철, 용인경량전철, 김포골드라인, 부산교통공사가 운영하는 4호선, 부산~김해 경전철, 대구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하는 3호선은 CCTV가 100% 설치돼 있다. 또 서울교통공사 2호선(98%)과 7호선(97%)에도 대부분 설치돼 있다. 그러나 서울교통공사 1호선, 3호선, 4호선에는 CCTV가 아예 없는 등 평균적으로 CCTV 설치율은 36.7%에 불과하다.
철도안전법의 적용을 받는 철도는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경강선·서해선·동해선, 신분당선과 경기철도가 운영하는 신분당선은 CCTV가 100% 설치돼 있으나 한국철도 3호선(일산선)과 경의중앙선 등에는 아예 설치가 안 돼 있어 평균 설치율은 16.7%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도시철도 차량 내 범죄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우선 광역철도를 운영하는 한국철도는 애초 2024년까지 순차적으로 CCTV를 설치하기로 했던 기존 계획을 앞당겨 내년까지 현재 운행 중인 광역철도 모든 차량에 CCTV를 먼저 설치하기로 했다.
관련 뉴스
또 서울·인천·부산·대구·광주·대전 등 6개 지방자치단체도 도시철도 차량 내 CCTV 설치 필요성에 공감하고 각 운영기관이 조속히 CCTV를 설치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 및 예산확보를 위해 국토부와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했다.
김복환 국토부 철도안전정책관은 “시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도시철도 범죄예방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며, 차량 내 CCTV 설치는 그 첫걸음”이라며 “역사 내 CCTV도 범죄 예방을 위해 추가 설치될 수 있도록 철도안전법을 개정하고 철도경찰의 순찰인력을 확보하는 등 시민안전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