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전용 생산라인 증설 추진
핵시부품 고성은 제품 개발 집중
UAM 비즈니스 모델 구체화 속도
고객 서비스 향상 등 38조 투입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22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환담을 한 뒤 대미 투자의 시너지와 관련해 이같이 설명했다. 첨단 미래산업 활성화를 위해 대대적인 대미투자를 단행하는 한편, 국내 관련 산업에도 공격적인 투자를 통해 ‘미래 산업의 선순환’ 구조를 일궈나가겠다는 전략이다.
정 회장은 “해외 투자를 하면 국내에도 고용효과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미국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찾으면 한국에서도 찾아 같이 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24일 현대차그룹이 국내에 2025년까지 63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것도 정 회장의 이런 전략의 일환이다. 한국 중심의 미래차 경쟁력 강화를 통해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대전환 선도하겠다는 뜻이다.
현대차그룹은 우선 미래 성장의 핵심축인 전동화 및 친환경 사업 고도화에 주력한다. 이 분야에 3년간 총 16조2000억 원을 투자한다. 순수 전기차를 비롯해 수소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전동화 및 친환경 전 분야에서 기술 우위를 확보한다. 국내 전기차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는 PBV 전기차 전용공장 신설,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혼류 생산 시스템 구축, 기존 공장의 전기차 전용 라인 증설 등도 추진한다. 핵심 부품 및 선행기술, 고성능 전동화 제품을 개발하고 연구시설 구축 등에 집중 투자한다.
순수 전기차 대중화 시대를 대비해 전용 차세대 플랫폼 확보에도 속도를 낸다. 2025년에는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 Integrated Modular Architecture)’ 체계 하에서 개발된 승용 전기차 전용 플랫폼 ‘eM’ 과 PBV 전용 플랫폼 ‘eS’를 선보인다.
현대차그룹이 미국 전기차 전용공장에 투자하면서 국내에 투자를 하는 이유는 글로벌 기업으로서 그룹 미래산업의 핵심을 여전히 한국에 두겠다는 의지로 내비친 셈이다.
현대차·기아·모비스의 국내투자는 자동차 생산 및 수출 확대, 국내 자동차 부품산업의 성장 및 활성화, 국내 신성장 산업 동력 확보 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자동차 부품업체들의 최대 파트너인 3사의 국내외 대형 투자는 국내 자동차산업 생태계에 직·간접 긍정 영향을 끼쳐왔다.
현대차그룹 3사의 국내 투자는 전기차 생산설비를 넘어 △전동화와 △친환경 △신기술 △신사업 △기존 사업 경쟁력 강화 등에도 쓰인다. 올해 하반기를 시작으로 2025년까지 월 평균 1조5000억 원을 투자하는 셈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를 골자로 한 대대적 투자 전략을 이미 공언한 바 있다. 2019년 말 ‘CEO 인베스터 데이’를 통해 “2020~2025년 사이 6년 동안, 총 61조 원의 미래 산업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던 게 그것이다. 다만 구체적으로 어느 분야와 어느 지역에 투자를 확대할 것인지는 비공개였다.
이와 함께 △로보틱스 △미래 항공 모빌리티(AAM) △커넥티비티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인공지능(AI) 등 미래 신기술 개발 및 신사업의 체계적인 추진을 위한 투자로 8조9000억 원을 책정했다. 완성차를 넘어 ‘인류를 위한 모빌리티 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겠다는 복안이다.
미래 항공 모빌리티 분야에서는 도심항공교통(UAM)과 지역 항공 모빌리티(RAM) 기체 개발, 핵심 기술 내재화, 인프라 조성, 비즈니스 모델 구체화에 속도를 낸다.
자율주행 분야에서는 차량 제어기, 라이다와 카메라 등 센서를 비롯해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시 비상상황을 대비한 리던던시(Redundancy, 이중안전기술) 시스템 등 레벨4 자율주행 요소기술 개발에 속도를 높인다. 또 선행연구, 차량성능 등 내연기관 차량의 상품성과 고객 서비스 향상 등에도 38조 원이 투입된다. 2025년 현대차·기아 전체 판매량의 80%가량을 차지하는 내연기관 차량 고객들의 상품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차원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국내에 집중적인 투자를 통해 한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미래 신사업·신기술과 전동화 투자는 물론 기존 사업에 대한 지속 국내 투자로 차별화된 제품과 만족도 높은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대전환을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