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15년 만의 기록적인 폭우가 이어지면서 '시민 영웅'들이 화제가 됐다. 시민들이 배수로를 맨손으로 뚫거나 손수 쓰레기를 치우는 사연들이 전해지면서다. 재난을 극복하기 위한 활동은 정부와 지자체의 역할뿐만 아니라 사회구성원의 참여 정도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전문가들은 재난 상황에 대비해 주기적인 교육 및 훈련을 통해 체계적인 시민안전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11일 서울연구원이 발표한 ‘서울시 시민안전 거버넌스 운영현황과 개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시민 중 약 74%가 재난안전사고 발생 시 자원봉사활동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시민들이 하는 자원봉사가 서울시 재난 안전관리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비율도 93%나 됐다.
보고서는 조사 결과에 대해 대부분의 시민이 ‘시민안전 거버넌스’ 구축에 적극적임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시민안전 거버넌스는 지역사회 시민들이 함께 안전을 도모하고, 효율적 재난관리를 위해 공공 및 민간 부문이 참여하는 민관협력 방식을 의미한다.
다만, 자원봉사활동 의향이 있는 시민들은 재난 현장에서 활동할 시에 ‘교육 및 훈련 미흡’이 가장 큰 어려움이라 답했다.
현재 서울시 시민안전 거버넌스 기관은 서울시 안전총괄실, 소방재난본부, 행정국 실·국·본부에서 담당하는 6곳이 대표적이다. 안전총괄실에서는 안전보안관과 자율방재단·더안전시민모임을, 소방재난본부에서는 시민안전파수꾼·의용소방대를, 행정국에서는 서울시자원봉사센터를 각각 담당하고 있다.
일례로 서울시자원봉사센터는 각계각층 시민들이 참여해 자치구 내 자원봉사센터, 단체 등과 협력체계를 지원하고 다양한 봉사 활동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원은 시민 안전 거버넌스가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기관마다 역할이 명확하게 나눠지고 시민들을 위한 체계적인 훈련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우선 서울 시내 시민안전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참여기관마다 재난관리 대응 체계인 예방·대비·대응·복구로 나눠 명확한 역할을 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를 위해서는 평시와 재난 시 각 기관의 역할 정의, 정보공유 체계 구축, 교육 및 훈련 시행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
연구원은 “재난 현장에서 통합자원봉사지원단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재난안전대책본부와 통합자원봉사지원단, 자원봉사자 간 협업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상시 훈련이 시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재난안전 봉사에 있어 시민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홍보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시에서 운영하는 재난안전 단체 인지 여부에 대해서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58%에 불과했다. 연구원은 “자원봉사자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참여자 간 정보 공유 및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시민안전 거버너스 활동용 온라인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