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워스트] 한미글로벌 55.40%↑…에어부산 23.43%↓

입력 2022-10-08 09: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에프앤가이드)
(출처=에프앤가이드)

코스피는 지난 한 주(10월 3~7일)간 77.35포인트(3.59%) 오른 2232.84로 거래를 마쳤다. 이 기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356억 원, 7055억 원 순매수했고, 기관은 9272억 원 순매도했다.

한미글로벌 네옴시티 수혜주 부각에 55.40% 상승

8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한 주간 유가증권 시장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한미글로벌로 지난주 대비 55.40% 오른 3만3100 원을 기록했다.

한미글로벌은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개발 수혜 기대가 상승세를 이끈 것으로 보인다. 한미글로벌은 지난해 네옴시티 프로젝트 중 하나인 ‘네옴 더라인’ 의 특별 총괄프로그램관리(e-PMO) 용역을 수주했다. 네옴시티는 서울의 44배에 달하는 도시 건설 사업을 진행 중이다.

뒤를 이은 디아이씨는 전주 대비 38.06% 상승했다. 디아이씨는 계열사 에코셀을 신설해 폐배터리 사업에 진출하면서 폐배터리 관련주 수혜를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외에도 한컴라이프케어(36.11%), 무림페이퍼(31.13%), 그린케미칼(30.48%), STX(29.71%), 흥아해운(25.61%), 우신시스템(24.17%), 삼성출판사(23.08%), 인지컨트롤스(19.08%) 등이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에어부산 23.43% ↓, 카카오페이 18.33%↓

한 주간 가장 많이 하락한 종목은 전주 대비 23.43% 하락한 에어부산이었다. 2385원에 거래를 마친 에어부산은 7일 5200만 주 대규모 유상증자 신주 발행에 따른 오버행(잠재적 매도물량) 우려로 매도세가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뒤를 이어 카카오페이가 18.33%의 하락세를 보였다. 카카오페이는 자회사인 카카오페이증권 유상증자에 참여한다는 소식과 함께 좋지 않은 시장 전망이 나오며 내림세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이외에도 NAVER(-17.31%), 카카오(-10.86%), 에스엠벡셀(-10.69%), SK바이오사이언스(-9.71%), 하이브(-8.89%), 크래프톤(-8.81%), 카카오뱅크(-8.48%), CJ대한통운(-7.96%) 등이 하락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LCK 개막하는데…'제우스 이적 ㆍ구마유시 기용'으로 몸살 앓는 T1 [이슈크래커]
  • 창원NC파크 구조물 사고, 당장 경기를 중단했어야 할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650,000
    • -2.28%
    • 이더리움
    • 2,704,000
    • -5.09%
    • 비트코인 캐시
    • 438,600
    • -5.11%
    • 리플
    • 3,008
    • -5.85%
    • 솔라나
    • 179,800
    • -4.56%
    • 에이다
    • 962
    • -4.85%
    • 이오스
    • 1,192
    • +17.09%
    • 트론
    • 348
    • -1.14%
    • 스텔라루멘
    • 382
    • -5.9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890
    • -4.71%
    • 체인링크
    • 19,410
    • -7.92%
    • 샌드박스
    • 384
    • -7.0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