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이뮨텍, 美 학회서 NT-I7·키트루다 병용 데이터 발표

입력 2022-11-14 10: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간 전이 없는 환자에게 더 뛰어난 치료 효과 확인

▲MD앤더슨의 아웅 나잉(Aung Naing) 박사가 췌장암, MSS 대장암 환자 대상 바이오마커 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네오이뮨텍)
▲MD앤더슨의 아웅 나잉(Aung Naing) 박사가 췌장암, MSS 대장암 환자 대상 바이오마커 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네오이뮨텍)

네오이뮨텍이 미국 면역항암학회(Society for Immunotherapy of Cancer, SITC)에서 T 세포 증폭제 ‘NT-I7’과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의 병용 임상 데이터를 발표했다고 14일 밝혔다.

네오이뮨텍은 ‘NIT-110’(고형암) 임상에서 췌장암·MSS(현미부수체 안정형) 대장암 환자(50명) 대상 바이오마커를 분석한 결과를 소개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인자의 하나로 예상되는 간 전이(Liver metastasis) 여부에 초점을 두어 분석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간 전이가 없는 환자(13명)는 간 전이가 된 환자(37명)에 비해 더 높은 치료효과를 보였다. 간 전이가 없는 췌장암, MSS 대장암 환자는 객관적 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 30.8%, 질병통제율 (Disease Control Rate, DCR) 69.2%를 보였다.

네오이뮨텍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MSS 대장암 3차, 췌장암 2차 표준 치료 시 전체 생존 기간 중앙값은 최대 7.1개월 수준이다. 하지만 이번 임상 데이터에서 간 전이가 없는 환자들은 관찰 기간 60주동안 생존 확률 100%를 보였다”면서 “면역관문억제제와 T 세포 증폭제 NT-I7 병용 시 생존율 증가 가능성이 가시화되기 시작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네오이뮨텍은 이르면 2023년 중 추가모집 환자를 포함한 최종 데이터를 공개하고, 구체적인 상업화 전략에 돌입할 예정이다.

양세환 네오이뮨텍 대표이사는 “T 세포 증폭으로 생존율을 증가시킨다는 가설로 창업 후 개발에 집중해 왔고, 이번 임상 데이터에서 난치성 암종에서 생존율 증가가 가능하다는 개념을 입증했다”라며 “NT-I7은 T 세포를 선택적으로 증폭해 암환자들의 생존율 증가를 유도하기 때문에 최종 허가는 물론 다양한 적응증으로 확장할 수 있는 신약으로 상용화가 가능하다”라고 밝혔다.

한편, 네오이뮨텍은 오는 12월 12일 미국 혈액암학회(ASH)에서 킴리아 병용 NIT-112(혈액암) 임상 1b상 초기 데이터 공개를 앞두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미국 “철강ㆍ자동차ㆍ반도체 등 상호관세 미적용”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524,000
    • -2.36%
    • 이더리움
    • 2,684,000
    • -5.59%
    • 비트코인 캐시
    • 437,200
    • -5.04%
    • 리플
    • 3,020
    • -5.39%
    • 솔라나
    • 178,200
    • -5.56%
    • 에이다
    • 955
    • -5.54%
    • 이오스
    • 1,179
    • +15.48%
    • 트론
    • 348
    • -1.14%
    • 스텔라루멘
    • 383
    • -5.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720
    • -5.03%
    • 체인링크
    • 19,260
    • -8.42%
    • 샌드박스
    • 380
    • -7.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