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하라 2002 제작해주세요”…시청자 요구에 신원호 PD 답변은?

입력 2023-01-02 17: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유튜브 ‘시언’s쿨‘ 캡처)
▲(출처=유튜브 ‘시언’s쿨‘ 캡처)
‘응답하라’ 시리즈와 ‘슬기로운’ 시리즈를 연출한 신원호 감독이 ‘응답하라’ 시리즈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지난해 12월 30일 배우 이시언의 유튜브 채널 ‘시언스쿨’에는 ‘응칠 동창회 2탄! 신원호 감독님의 노 필터 비하인드 스토리’라는 제목의 영상이 공개됐다. 해당 영상에는 2012년 방영된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97’의 신원호 감독과 배우 서인국, 이시언, 이호원, 은지원이 출연했다.

이날 신 감독은 “‘응답하라 1997’이 만들어진 계기가 있나”라는 이시언의 질문에 “우리는 원래 예능 감독이었고 CJ에서 돈 더 주겠다 그래서 갔다”며 능청스럽게 말을 꺼냈다. 그는 “(CJ에) 갔는데 막상 준비하려 보니 새로운 환경이라는 게 무서웠다. 케이블이 지금과 다른 매체였다”며 “뭘 해야 할 지 몰라서 처음에 하는 건 무조건 망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차피 망할 것 같은데, 했던 거로 망하면 지겨우니 다른 거 하면서 망하자 해서 만들었다”고 얘기했다.

이어 “(‘응답하라 1997’ 극본을 담당한) 김란주 작가가 H.O.T 광팬이어서 그 얘기 들어보자 했는데 남자들은 몰라서 너무 신기한 세계였고 여자들은 공감해서 너무 재미있는 얘기더라”며 “복고를 하려고 시작했다기보다는 팬들의 이야기들이 재미있을 것 같았다. 아이돌 1세대 얘기를 리얼하게 하자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15년 전이라 복고 감성이 만들어질지 우려했는데, 세상이 빨리 변하는 만큼 버려진 것들도 많아 특유의 세기말 감성을 낼 수 있었다고 전했다.

신 감독은 “개인적으로 (응답하라) 2002가 나왔으면 좋겠다”는 이시언의 말에 ’응답하라 2002‘는 만들어진다면 “어마어마한 대작이 될 것”이라며 제작이 어려운 현실적인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2002가 제일 힘들다”며 “월드컵이라는 것 자체에 대한 저작권을 풀기가 너무 힘들다”고 뜻밖의 어려움을 전했다. 이어 “당장 응팔(‘응답하라 1988’)만 해도 1화에 서울 올림픽이 나오는데, 그 저작권을 풀기 위해 스위스 로잔에 있는 IOC 본부와 통화를 계속했다”고 말했다.

나아가 “그때 영구적으로 저작권을 푼 게 아니라 1년 반에서 2년 정도 계약을 해 돈을 지불했다. 이후 재계약을 안 해 현재 재방송에는 해당 장면들이 다 블러 처리돼서 나간다”고 밝혔다.

신 감독은 “‘응답하라 1997’은 첫사랑 같은 작품”이라며 “연출이나 편집이나 미숙한 모습이 너무 많이 보여서 오그라들긴 하는데, 그래도 그때가 가장 신났고 남 눈치 안 보고 계산하지 않고 피곤하긴 했어도 낄낄거리면서 했던 현장이었다”고 작품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145,000
    • +3.06%
    • 이더리움
    • 2,795,000
    • +4.92%
    • 비트코인 캐시
    • 467,400
    • +7.99%
    • 리플
    • 3,244
    • +5.77%
    • 솔라나
    • 191,600
    • +4.02%
    • 에이다
    • 1,011
    • +6.42%
    • 이오스
    • 1,015
    • +13.53%
    • 트론
    • 348
    • +0.58%
    • 스텔라루멘
    • 407
    • +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400
    • +5.84%
    • 체인링크
    • 20,770
    • +6.79%
    • 샌드박스
    • 415
    • +5.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