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감원장 "변동금리 축소, 가계부실 확대 막아달라"

입력 2023-01-18 10: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소기업 고금리 부담 덜 수 있는 지원책 마련
시스템리스크 현재화 되지 않도록 은행권의 적극적인 역할 당부
내부통제 강화 재차 언급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이복현<사진> 금감원장이 은행권이 고금리로 인한 가계부실 확대 가능성에도 선제적으로 대비해 달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1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17개 국내은행 은행장 간담회'에서 "가계부채의 연착륙을 위해 상환능력 기반 여신심사 관행 정착 및 변동금리 대출 비중 축소 등 대출구조를 개선해 달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또 "부실우려 차주에 대한 선제적인 채무상담 및 지원을 제공하고 신용도가 개선된 차주가 금리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금리인하요구권의 활성화 노력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금융시스템의 안정과 취약부문에 대한 연착륙을 유도하기 위해 은행권의 주도적인 역할도 주문했다.

이 원장은 "현재 우리 자금시장이 지난해말 경색 국면에서 벗어나 대체로 안정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면서도 "여전히 우량물 위주로 투자수요가 집중되는 등 시장의 불안감과 양극화가 지속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자금수요자의 상황을 잘 알고 있고 자금공급 여력이 큰 은행이 자금시장의 경색으로 인한 시스템리스크가 현재화 되지 않도록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 달라"고 덧붙였다.

중소기업 지원의 고금리 부담 완화도 언급했다.

이 원장은 "중소기업이 경영상 애로를 이겨낼 수 있도록 은행권이 만기연장·상환유예, 금리인하, 경영컨설팅 등 다양한 맞춤형 자체 지원프로그램을 실효성 있게 운영해 줄 것"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일시적 유동성 애로를 겪는 기업이 고금리 부담으로 부실화되지 않도록 기업의 상황에 맞는 금리지원 프로그램도 적극 마련해 달라"며 "금융부담을 완화해 정상적인 경영을 유도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은행의 건전성 측면에서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은행의 대형 금융사고로 고객의 신뢰가 훼손되고 있는 점도 지적했다.

이 원장은 "금감원과 은행권이 함께 마련한 내부통제 혁신방안이 실효성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은행의 경영진이 강력한 의지를 갖고 내부통제 강화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달라"며 "디지털전환의 가속화로 전산·보안사고 예방이 중요해지고 있는 만큼 IT부문 내부통제 강화에 힘써 달라"고 주문했다.

전날 이 원장은 최근 이 원장은 여신업계 CEO들과 조찬 행사, 오후에는 인터넷전문은행 3사와 오찬행사를 진행했다. 지난 13일에는 기관전용 사모펀드(PEF) 운용사 대표들과 간담회를 하고 기업 구조조정에서 사모펀드가 주도적인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미국 “철강ㆍ자동차ㆍ반도체 등 상호관세 미적용”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418,000
    • -2.46%
    • 이더리움
    • 2,679,000
    • -5.74%
    • 비트코인 캐시
    • 437,200
    • -5.04%
    • 리플
    • 3,004
    • -5.89%
    • 솔라나
    • 178,000
    • -5.77%
    • 에이다
    • 955
    • -5.54%
    • 이오스
    • 1,179
    • +15.59%
    • 트론
    • 347
    • -1.14%
    • 스텔라루멘
    • 382
    • -5.4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650
    • -5.17%
    • 체인링크
    • 19,210
    • -8.65%
    • 샌드박스
    • 380
    • -7.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