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수변감성도시’ 확대…2025년까지 30곳 조성

입력 2023-02-20 11: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도시 매력‧경쟁력 향상 추진

▲수변활력거점 조성 추진현황 (자료제공=서울시)
▲수변활력거점 조성 추진현황 (자료제공=서울시)

서울시가 도시 곳곳에 흐르는 332㎞의 소하천과 실개천의 수변공간을 수(水)세권으로 재편하는 ‘서울형 수변감성도시’를 시 전역으로 확산한다.

서울시는 작년 4월 오세훈 시장이 ‘서울형 수변감성도시’ 선도사업 4개 소 추진을 발표한 이후 동작구 도림천, 서대문구 불광천, 성북구 성북천 등 총 20곳에서 수변활력거점을 차질 없이 조성 중이라고 20일 밝혔다.

서울형 수변감성도시는 시 전역에 흐르는 물길을 따라 지역의 특성을 담고 문화, 경제, 휴식·여가 등이 가능한 새로운 유형의 수변공간을 만드는 ‘수변활력거점’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2025년까지 총 30개 소, 1개 자치구 당 1개 소 이상을 조성할 계획이다.

올해 시민에게 공개되는 5개 소는 △종로구 홍제천 상류 △관악구 도림천 △강남구 세곡천 △동작구 도림천 △서대문구 불광천이다. 모두 기본 및 실시설계를 마무리하고 4월 중으로 착공한다.

△동대문구 정릉천 △강동구 고덕천 △은평구 불광천 △송파구 성내천 4개 소에 대해서는 올해 착공을 목표로 현재 각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기본 및 실시설계가 진행되고 있다.

올해까지 설계가 완료될 10개 소는 △성북구 성북천 △은평구 구파발천 △노원구 당현천 △송파구 장지천 △금천구 안양천 △강남구 양재천 △강북구 우이천 △성동구 중랑천 △서초구 여의천 △구로구 안양천이다. 올해 기본 및 실시설계를 완료하고 2024년까지 준공한다는 목표다.

시는 시 전역으로 수변활력거점을 확산하기 위해 올해 2월부터 자치구를 대상으로 추가 공모를 지속해서 실시한다. 올 연말까지 나머지 대상지 10개 소 이상 선정을 완료할 방침이다. 차질 없는 사업 추진을 위해 공모에 선정된 사업지를 대상으로 사업 전반에 걸쳐 전폭적으로 지원한다. 개소별로 30억 원씩 투입하고 사업계획이 보강이 필요한 자치구에 대해서는 기획 및 설계도 지원한다.

권완택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수변활력거점 확대를 통해 시민들이 생활권 가까이에 있는 수변공간에서 한 차원 높은 여가‧문화 활동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며 “‘서울형 수변감성도시’와 ‘한강 르네상스 2.0’ 프로젝트를 통해 수변을 중심으로 서울의 도시 매력과 경쟁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미국 “철강ㆍ자동차ㆍ반도체 등 상호관세 미적용”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726,000
    • -2.89%
    • 이더리움
    • 2,660,000
    • -6.27%
    • 비트코인 캐시
    • 432,100
    • -5.74%
    • 리플
    • 2,995
    • -5.76%
    • 솔라나
    • 176,300
    • -6.32%
    • 에이다
    • 949
    • -5.76%
    • 이오스
    • 1,184
    • +16.19%
    • 트론
    • 346
    • -1.7%
    • 스텔라루멘
    • 380
    • -5.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350
    • -5.36%
    • 체인링크
    • 19,090
    • -8.75%
    • 샌드박스
    • 378
    • -7.58%
* 24시간 변동률 기준